온실가스 번역

 

온실가스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온실가스 번역_02

온실가스 번역(한국어 원본)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대한 국제적인 공조는 에너지 과소비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는 우리산업에는 커다란 위기와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기후변화협약 등의 환경규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각 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과 향후 얼마만큼 배출할 것인지에 대한 정량적인 예측이 국가차원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항이 되고 있다.
국내는 환경친화적 건축물의 육성에 관한 정부, 업계, 민간의 높은 관심과 활동이 증대되고 있으며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온실가스 배출량 예측 및 평가를 위한 정량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연구 및 자료가 부족한 상태이고 건축물의 생애주기 단계별 이산화탄소 배출 요인의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이다. 이에 건축물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에 대한 평가 기법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전과정평가(LCA)를 통해 건축물의 생애주기 동안에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예측 평가할 수 있는 분석 모델을 제시하였다. 건축물의 전과정평가에 필수 데이터인 건설자재의 생산단계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원단위를 산업연관분석법에 의해 도출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또한 전과정평가(LCA)에 의한 공동주택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예측 모델을 사례 공동주택에 적용하여 사례대상의 생애주기 동안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하고 건설단계별, 생애주기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환경부하 저감 방안 및 효과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축물의 신축, 재건축, 개보수 및 유지관리 등 전과정에 있어서 건설 자재의 투입에 의해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건축자재의 생산 시에 직․간접적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등의 원단위 데이터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표에서 에너지투입물량표를 작성하고 산업연관분석법을 활용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건설자재 생산단계의 환경부하 원단위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산출 원단위 데이터는 건축자재부문 118개, 설비자재부문 57개, 기타 및 추가부분 34개로 총 209개로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온실가스 번역(영어 번역본)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s expected to provide a big crisis and a great opportunity at the same time for our industry that heavily consumes energy. To proactively respond to environmental regulation, such as the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volume of greenhouse gases emitted by various industries and quantitative prediction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of the future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t the national level.
Domestically the government, the industries and the private sector are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and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and their interest in the CO2 emissions from buildings is also rising. However, researches and data on quantitative approaches to the prediction and assessmen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insufficient, and the factors affecting CO2 emissions in each stage of the life cycle of buildings have not been analyzed yet. Accordingly, it is desperately needed to develop a assessment technique for comput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of buildings.
This study proposed an analysis model for quantitatively predicting and assessing CO2 emissions during the life cycle of buildings based on the life cycle assessment (LCA) of apartments. This study used the input-output analysis to derive and database the basic unit of CO2 emissions in the production stage of construction materials, which is essential data for the life cycle assessment of buildings. This study also applied the CO2 emissions prediction model for apartments based on life cycle assessment (LCA) to the sample apartments to predict CO2 emissions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samples, and analyzed the impact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by construction stage and by life cycle, and thus predicted ways to reduce environmental load and their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o assess the environmental load generated by the input of construction materials during the life cycle, i.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reconstruction, renovation and maintenance, basic unit data, such as CO2 directly and indirectly emitted during the produc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is essential. In this study the energy input table was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input-output table, and the input-output analysis was utilized to produce the environmental load intensity data in the construction material production stage fit for domestic conditions. A total of 209 pieces of basic unit data were produced and databased: 118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sector, 57 in the facility materials sector, and 34 in other sectors.

.

이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의뢰한 온실가스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