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재 번역

 

배수재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배수재 번역

배수재 번역(한국어 원본)

2. 실내모형실험

2.1 실험장치개요
본 연구에서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합 통수능 실험장치를 제작하여 실내시험을 통해 배수재가 지중에 타설된 후 받는 일정 상재압력하에서의 통수능력을 파악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복합통수능실험기는 직경 50cm, 높이 105cm의 원통형 강재 프레임으로 제작되었으며 실험기 측면에는 압밀진행에 따른 과잉간극수압 측정 포트를 10c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하부 바닥에는 배수재로부터 떨어진 거리별로 과잉간극수압을 측정하고자 3개의 포트를 설치하여 압밀진행에 따른 과잉간극수압의 소산을 측정하였고, 측정된 과잉간극수압은 Digital Transducer를 통해 기록하였다.

2.2 모형지반
복합통수능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대심도 연약지반에서 채취한 점성토로서, 불교란 시료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시료를 교란된 상태로 채취하여 흙을 No.10번체로 체가름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 중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크기가 큰 흙이나 조개껍데기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시료의 토질특성을 정리하면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2.3 실험대상 배수재
사용된 배수재는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일코아PBD는 폭 100mm(±5mm), 두께 5.0mm(±0.5mm)의 단면을 가진 하모니카형 코어와 포켓식 필터로 구성되어 있고, 이중코아PBD는 폭 100mm(± 0.5mm), 두께 7.0mm(± 0.5mm)이며 코어는 2개의 코어를 맞물려 끼워놓은 이중필터의 단면을 가져 중심부에는 소정의 배수통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단일코아PBD와 이중코아PBD의 특성은 표 3과 같다.

2.4 실험방법 및 조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실내 통수능실험에서는 현장조건을 최대한 모식화하기 위해 점토로 채워진 실험기 내부에 배수재를 타설한 후 일정한 연직하중을 가함으로써 배수재의 필터 부분에 점토가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복합 통수능 실험을 통하여 이러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점토가 압밀됨에 따라 배수재 굴곡시의 통수능력(Discharge Capacity, )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최종 상재압력은 대심도 현장조건을 고려하여 500kPa까지 가압하였으며, 점토로 채워진 셀에 일시에 500kPa의 압력을 적용하였을 경우 급작스런 하중 증가로 인한 과잉간극수압의 급증으로 시료의 불안정상태가 예상되므로 50kPa씩 증가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수재 번역(영어 번역본)

2. Indoor model experiment

2.1 Outline of the experimental apparatus
In this study, as illustrated in Figure 1, a compound drainage capacity tester was made and the drainage capacity under a certain overburden pressure was measured after the drain materials were installed in the ground in the indoor test. The compound drainage capacity tester used in this experiment was made of a cylindrical steel frame which was 50cm across and 105cm tall, and ports for measuring excessive pore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consolidation were installed at intervals of 10cm on the side of the tester. At the bottom three ports were installed for measurement of excessive pore water pressure by distance from drain materials, and the dissipation of the excessive pore wate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consolidation were measured. The excessive pore water pressure was recorded by the Digital Transducer.

2.2 Simulated ground
The samples used in the compound drainage capacity experiment are the cohesive soil collected from the deep soft ground. As it is very difficult to get undisturbed samples, in this experiment,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disturbed state, and they were sieved with a No. 10 sieve. In this process big pieces of soil, likely to affec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r impurities like shells were removed. The soil properties of the samples used in this experiment are shown in Table 1.

2.3 Target drain materials
As shown in Figure 2, as for the drain materials used in this experiment, the single core PBD consists of a harmonica-type core, which has a 100mm(±5mm) wide and 5.0mm(±0.5mm) thick cross section, and a pocket-type filter, while the double core PBD is 100mm(± 0.5mm) wide and 7.0mm(± 0.5mm) thick, and the core has the cross section of a double filter made of 2 interlocked cores so that there is a drainage passage at the center. The properties of the single core PBD and the double core PBD used in this experiment are shown in Table 3.

2.4 Experimental methodology and conditions
In the drainage capacity experiment conducted in this study, to simulate the conditions of the site as much as possible, drain materials were installed inside the tester filled with clay, and a certain vertical load was applied to measure the influence of clay on the filter of the drain materials through the compound drainage capacity experiment. Also, the drainage capacity () was measured when the drain materials are bent as the clay was consolidated. The final overburden pressure in this experiment was increased to 500kPa in consideration of the depth of the site. If 500kPa pressure is applied at once to the cell filled with clay, a sudden increase of load may rapidly increase the excessive pore water pressure, and the sample is expected to be unstable. So the pressure was increased by 50kPa at a time for this experiment.

.

이상 한양대학교에서 의뢰한 배수재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