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연구 번역

 

노동연구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노동연구 번역

노동연구 번역(한국어 원본)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1-1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경제위기 이후 10년 동안의 소비격차에 미친 요인을 코호트 방법을 활용하여 분해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비격차는 경제위기 직후 급격히 악화된 이후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2005년 이후 다시 악화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소비격차의 변화를 연령-세대-연도효과로 분해할 경우 40대 중반을 기점으로 소비격차는 큰 변화가 있으며 노인 세대보다 젊은 세대에서 소비격차를 개선시키는 효과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현재 젊은 세대가 자연스럽게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소비격차의 문제는 지금보다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1998년을 기준으로 인구-세대-연령 효과 요인을 분해하여 그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소비격차의 변화에 대한 연령효과는 낮아지고 인구구조의 변화에 의한 인구고령화 효과에 의한 설명력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는 향후 인구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우리사회에 소비격차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다가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공적 노후소득보장체계의 강화와 더불어 저소득 노인층을 위한 별도의 공공부조제도를 마련하여 확충하는 방안도 함께 모색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의 직업력 자료와 3차년도 개인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고령자 세대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은퇴경로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은퇴 후 소득 수준이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전통적인 은퇴경로라고 생각되어 온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생애 근로를 마감하는 완전 은퇴의 경향과 함께 가교 일자리를 통한 점진적 은퇴도 하나의 주된 은퇴 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다. 둘째, 은퇴 후 소득 수준은 은퇴경로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은퇴 후 소득 수준은 가교 일자리를 통해 은퇴한 경우보다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은퇴한 경우가 높으며 그리고 이들 중에서는 공적연금을 수급 받고 있는 집단의 소득 수준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의사결정나무모형으로 은퇴 후 소득에 대한 결정요인을 살펴본 결과에 의하면, 은퇴 후 소득 수준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는 교육수준이고 그 다음이 생애 근로 경험에 따른 은퇴경로의 유형이며 이들 가운데에서는 공적연금 수급여부가 은퇴 후 소득 수준의 차이를 가져온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연구 번역(영어 번역본)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onsumption inequality in the 10 years following the Asian financial crisis, applying the cohort method on the data for the first to the eleventh year of the Korean Labor and Income Study produced by the Korean Labor Institute. The study found that consumption inequality increased rapidly immediately following the financial crisis,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until increasing again from 2005 onward. Analyzed in terms of age-time-cohort effects,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consumption inequality around the age of mid-forties, and the decrease in consumption inequality was smaller in the younger generations than in the older ones. This suggests that as the current younger generations age over time, consumption inequality may become greater. Also, when the factors in population-cohort-age effects from 1998 onward are analyzed, the age effect in income inequality becomes smaller, whereas the role of the rising average age due to demographic shifts seems to be increasing. This means that income inequality may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he rapidly aging Korean societ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ways to bolster social security for retired citizens and to provide further public assistance for senior citizens in the low-income bracket.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various retirement tracks taken by middle-aged and senior citizens and examine the disparity in their income levels using the occupational history data and the three-year individual data in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produced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The study found that first, increasing numbers of people have been opting for gradual retirement, in which they take on a temporary job before retirement, as opposed to complete retirement, in which people end their working life by retiring from their main occupation. Second, post-retirement income levels depend very much on the form of retirement taken. Income levels were higher for people who had retired immediately after their primary occupation than for those who took on temporary jobs, and among the former group, income levels were higher for retirees receiving public pensions. Third, an examination of the factors determining post-retirement income levels using the decision tree model revealed that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was the level of education, followed by the track of retirement, and where they were the same, the eligibility for public pension.

.

이상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의뢰한 노동연구에 관한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