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백내장 번역

 

소아백내장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소아백내장 번역

소아백내장 번역(한국어 원본)

서 론
소아백내장은 10,000명당 1.2명에서 6명까지 유병률이 보고 되고 있는 소아 실명의 가장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이다. 과거 30년 동안 소아에서 백내장을 제거하는 방법은 많이 발전되어 왔으나 시력 재활(visual rehabilitation)은 여러가지 논쟁점이 아직 존재하고 있으며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과제로 남겨져 있다. 소아 백내장 환아에서 약시에 빠지는 원인으로는 백내장에 의한 형태시 자극의 부족과 백내장 수술 후 안구의 성장에 따른 굴절이상을 지속적으로 정확히 교정하지 못하였고 후발성 백내장으로 인한 시축의 가려짐으로 시력 발달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음에 있다.1좋은 양안시 획득과 좋은 시력은 소아 백내장 치료의 목적이다. 특히 여러가지 시기능 중에서도 입체시는 가장 복잡한 양안시 기능이다. 백내장 제거술 후 인공수정체로 광학적 교정을 하면 안경 또는 콘택트 렌즈 교정 보다 양안시 기능이 뛰어나다.2 무수정체 또는 위수정체안을 가진 성인에서 입체시와 관련된 인자는 환자의 나이, 반대편 안과의 시력 차이, 구면계수 차이, 난시차이, 안축장 길이차이, 부동상, 동공의 크기, 인공수정체 이탈 및 기울임이라고 한다.3-9 그러나 소아 백내장은 성인 백내장과 달리 약시, 사시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수술 후 양안시와 입체시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 백내장 제거술 후 일차적 후방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아를 대상으로 입체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2년 2월부터 2006년 7월까지 본원에서 1명의 술자에 의해 소아백내장으로 수술 받은 환아 중 22명 38안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 하였다. 소아 백내장 중 선천백내장은 8명(16안)이었고, 선천 백내장이라고 진단한 기준은 생후 6개월이내에 백내장이 발견된 경우, 선천백내장의 가족력이 있거나 층판(lamellar type)백내장이 있었던 경우이었다.10 이와 같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 후천 발달 백내장으로 간주 하였으나 병원에서 백내장으로 진단받은 시기가 늦어서 백내장이 언제 발생하였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었다.
대상이 된 환아들 가운데 백내장 수술 전에 사시, 녹내장, 외상, 포도막염, 각막 혼탁 및 안구내 이상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으며 이전에 수술 받은 경력은 모든 안에서 없었다. 약시가 있는 환아들은 굴절이상을 완전히 교정한 후 가림치료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수술시 삽입할 인공수정체의 굴절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초음파(A-scan)을 이용하여 안축장을 측정하고, 각막곡률계를 사용하여 각막곡률도를 측정하여 SRK-T 방식으로 계산하였다.
수술방법은 상측공막에 각막윤부에서 1.5 mm 뒤에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렌즈(PMMA) 삽입을 위해서는 5 mm , 연성아크릴렌즈를 위해서는 3.2 mm인공절개창을 만들었다. 전낭원형절개와 수력분리술을 시행한 후 초음파유화기의 관류 및 흡인술을 이용하여 백내장을 제거하였다.
후낭에 대한 처치로 4명(18.2%)은 후낭을 보존하고 인공수정체를 넣었으며, 12명(54.5%)은 후낭원형절개술 후 인공수정체 광학부 포획술을 시행하였고, 6명(27.3%)은 후낭원형절개술 후 유리체절단기로 앞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한 후에 인공수정체를 삽입하였다. 백내장 수술시 후낭을 그대로 남겨둔 채 인공수정체 삽입한 4명의 환아에서 모두 후발성 백내장이 발생하였고 인공수정체 광학부 포획술과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서는 각각 1명, 2명에서 후발성 백내장이 발생하였다. 이 중 3명(42.9%)은 Nd:YAG 후낭절개술을 시행하였고, 4명(57.1%)은 후낭절개술후 이차적 인공수정체 광학부 포획술을 시행하였으며 후발성 백내장이 발생한 환아에 대해서는 Nd: YAG 후낭절개술 또는 이차적 인공수정체 광학부 포획술을 시행한 후 최종 입체시를 평가하였다.
수술 후 최종경과 관찰시 근거리 입체시는 Titmus 검사를 이용하였으며, 감각융합은 Worth 4 Dot 검사를 이용하였고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최소 만 4세 이상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섬세한(Fine) 중심부 입체시 및 유용한 입체시의 최소값인 100 sec/arc 를 기준으로 2군으로 나누어, 100 sec/arc 이하인 군을 1군, 100 sec/arc 초과인 군을 2군이라 하였다.10
입체시와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 결정하기 위해 문헌에 근거하여 입체시와 관련된 9개의 인자를 선정하여 각 군의 백내장의 양안성, 수술방법, 후발성 백내장, 술 후 사시 발생, 감각성 융합 정도, 술 후 양안 평균시력, 술 후 양안 시력차이, 백내장 수술시 나이, 반대편안과의 구면계수 차이를 평가한 후 입체시와 관계된 영향인자를 알아보았다.
교차 분석(Chi-square test) 및 상관 분석(Pearson’s test)을 통해 단순영향인자를 평가하였고 P value 가 0.050 이하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입체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중 영향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중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소아백내장 번역(영어 번역본)

Introduction
A pediatric cataract is one of the most primary reasons for childhood blindness with a high prevalence rate of 1.2 to 6 in 10,000 children. Although researches in removing cataract had gradually developed over the years, remedy for visual rehabilitation still remains in debate. Main reasons for amblyopia in pediatric cataract children are shortage of stimulus to contour vision due to cataract, a failure to correct an ametropia caused by the growth of eyeball, and a fall of visual acuity development due to an after-cataract blocking visual axis.
The key purpose of pediatric cataract treatment is to obtain a fine binocular vision and visual acuity. The stereoacuity is the most complex binocular function among many other functions. Optical correction with a pseudophakia after a cataract surgery is known to secure a better binocular function than glasses or contact lenses. Factors relevant to a stereoacuity for adults with aphakia or pseudophakia are the age of patients and the difference of spherical equivalence, astigmatism, axial length, aniseikonia, size of pupil, pseudophakia breakaway and inclination, visual acuity between both eyes. However, a pediatric cataract has not fully been evaluated in terms of influential factors to binocular vision and stereoacuity due to problems such as an amblyopia and strabismus.
Hence,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to a stereoacuity for children who were implanted with primary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after pediatric cataract surgery.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8 eyes from 22 children who underwent PCS by one surgeon in our hospital from February 1992 to July 2006. Amongst these subjects, 8 children (16 eyes) were diagnosed with congenital cataract. The standard by which the categories were made was whether they had cataract within 6 months after birth, family history of congenital cataract, and lamellar type cataract. The other cases were regarded as acquired cataracts even though the time of cataract diagnosis for all cases was not clear. Among the subjects, children who had a strabismus, glaucoma, trauma, uveitis, corneal opacity, and other eye diseases or any surgery were excluded. Patients with an amblyopia were conducted with an occlusive treatment after a full ametropia correction. An axial length using A-scan and kerato using keratometer were calculated by SRK-T method to estimate the refractive power of pseudophakia to be implanted. The surgery used an artificial incision wound of 5 mm for Poly Methyl Meth Acrylate (PMMA) implantation and in 3.2 mm for soft acrylate 1.5 mm behind superior sclera corneal corneoscleral limbus. Cataracts were removed using the perfusion of ultrasonic emulsifier and aspiration after an Anterior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rhexis (ACCC) and hydrodissection. 4 patients (18.2%) were who were reserved with posterior capsule (PC) were implanted with artificial intraocular lens (AIL). The surgeon operated an optic capturing (OC) after a posterior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rhexis (PCCC) on 12 patients (54.5%). The other 6 patients (27.3%) were implanted with AIL after PCCC and anterior vitrectomy (AV). Among patients who were implanted with AIL with PC reserved through a cataract surgery, it was found that for 4 children had an after-cataract in contrast to the cases of an OC (1 patient) and vitrectomy (2 patients). PCCC was conducted on 3 patients (42.9%) while other 4 patients had PCCC and secondary AIL OC. For the patients with an after-cataract, we evaluated a stereoacuity after operating a PCCC or secondary AIL OC. The Titmus test was conducted for final observation vision and near stereoacuity, and the Worth 4 Dot test was used for a sensory fusion. The subjects were narrowed down to children under 4-year old to increase the test reliability.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by the level of stereoacuity based on the fine central stereoacuity value or the minimum stereoacuity value, 100 sec/arc; Group 1 with a stereoacuity less than 100 sec/arc; Group 2 with a stereoacuity more than 100 sec/arc.
In order to determin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ith regards to a stereoacuity; we have selected 9 factors based on the former researches; binocularity of cataract, method of operation, after-cataract, postoperative strabismus, level of sensory fusion, average postoperative vision acuity on both eyes, difference of vision acuity after surgery between both eyes, age when surgery was performed, and difference of spherical equivalent between both eyes.
The Chi-square test and Pearson’s test were conducted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significance if P-value is less than 0.050. In addition, their research use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to evaluate the level of factor influence on a stereoacuity.

.

이상 세브란스에서 의뢰한 소아백내장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