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개념 번역

 

자아개념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자아개념 번역

자아개념 번역(한국어 원본)

아동기의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자신에 대한 사고와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확립의 초석이 되며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전 생애에 걸쳐 문제의 해결력과 대응 및 대인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Bandura, 1986). Stough(1999)에 따르면, 지적장애 학생들이 일반학생들에 비하여 슬픔과 외로움, 불안 증세를 더 많이 보이고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흥미를 잃어버리며 감각, 이동, 지적 능력에 대한 결손으로 사회적 물리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자아개념의 발달이 지체되거나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갖게 된다(Stainback, Stainback, East, & Sapon-Shevin, 1994). 장애아동들은 학교나 사회생활을 통해서 얻게 된 실패 경험으로 사회적으로 위축되는 경우가 많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거나 일반학급에서 과제 및 활동을 수행할 때 불안한 감정을 갖게 되며, 이러한 불안감은 이미 경험해 온 열등감과 더불어 이들을 사회적으로 더욱 위축하게 만든다(Pillips, 1993; Wayment & Zetlin, 1989). 또한, 장애아동들은 학업수행 능력 부족으로 낮은 자아개념을 갖게 되며(Huntington & Bender, 1993), 일반학급에서 소속감을 갖지 못하고, 학교내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적절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여 학교생활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박승희, 2003; 이신령, 박승희, 2007).
최근 장애아동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예술치료방법이 연구되어 보급되고 있다. 예술치료는 예술매체 즉 다양한 예술적 창작 활동을 통해서 내담자가 불안정하고 병적인 심리상태와 증상들이 경감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새로운 방식의 심리치료이다. 예술의 범주에 속하는 음악·무용·연극·사진·서예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매체를 치료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통틀어 예술치료라 말한다.
예술치료의 한 갈래인 사진치료는 사진의 이미지와 사진의 창작과정을 조직적으로 응용하여 내담자의 생각과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David Krauss, 1983). 사진치료는 ‘기록성’, ‘사실성’, ‘전달성’이라는 세 가지 속성에서 타 예술치료와 차별성을 보인다. 이러한 속성들은 인간의 마음 구조에 신뢰감을 형성하게 하고, 기억을 재생시키고, 인지방식을 표출하는 심리효과를 가져온다. 수동성이 강한 내담자에게는 창작을 해야 한다는 예술치료의 능동적인 속성이 부담을 줄 수도 있다. 반면에 사진치료는 그러한 부담 없이도 시행될 수 있다. 사진치료는 미술치료나 음악치료처럼 아직 대중적이지는 못하지만, 사진의 창작활동이나 감상을 통해 내담자의 외상을 치료하고자 하는 예술 심리치료의 한 부분이다. 사진이라는 매체는 상당히 구체적이고 실증적이기에 내담자에게 더욱 신뢰를 줄 수 있다. 미술작업은 우리 내면의 무의식·정신세계를, 현실 속에 작품이라는 구체적인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반면 사진은 외면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무의식 속의 내부적인 문제를 이끌어 낸다. 미술을 통한 자기표현은 그 상징이 지극히 개인적이기 때문에 내담자에게서 이미지가 의미하는 해석을 얻어 내기가 용이하지 않지만 사진은 구체화된 이미지에서 그 의미·설명·내용을 발견하는 것으로 미술치료보다 해석의 용이성을 갖는다(박소현, 2004).
사진의 교육적 의의에 대하여 김남수(2003)는 사진을 통해 보이는 세계의 의미가 각자의 세계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진을 찍고 읽는 과정은 일종의 표현방식을 드러내는 교육적 활동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김정민(2009)은 표현하는 것 이상으로 다양한 의미를 읽어낼 수 있으며 인식의 전환을 맞게 해 주는 것이 사진의 교육적 역량이라고 하였다. 사진은 쉽게 접할 수 있는 매체이며, 사진을 찍는 행위는 하나의 매커니즘이 따르는 활동이다. 따라서 기계를 다룬다는 것은 자아분화가 낮은 장애아동에게는 커다란 도전이 될 수 있다(박소현, 2004). 사진치료를 독립적인 치료의 갈래로 인식시킨 Douglas Stewart(1979)는 필름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치료를 사진촬영이나 필름의 현상, 인화 등의 사진 창작활동 등을 시행함으로써 심리적인 장애를 경감시키고 심리적 성장과 치료 상의 변화를 가능케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필름카메라는 사진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가 있다. 필름과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선택의 기회가 열려있고, 이를 활용한 정해진 조작 활동을 통해 사진을 찍고, 필름을 확인하는 과정 등 새로운 지식의 습득과 활용으로 지적장애 아동에게 자아성취감을 느끼도록 한다. 때에 따라 필름과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는 점은 쉽게 흥미를 잃을 수 있는 지적장애아동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장점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사진매체치료는 지적장애아동들에게 강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자아개념 번역(영어 번역본)

Positive self-concept during childhood serves as a basis for self-reflection and self-identity during adolescence, and self-esteem exerts influence on problem solving skills, response to eve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out the child’s life (Bandura, 1986). According to Stough (1999),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 sadness, loneliness, and anxiety more easily than normal students, lose interest in overall daily life, and may experience delay in the development of a desirable self-concept or may acquire a negative self-concept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socio-physical environment, which in turn has been caused by a lack of emotional, locomotive, and intellectual abilities (Stainback, Stainback, East, and Sapon-Shevin, 1994). Children with disability are usually socially withdrawn due to experience in failure acquired in school or social life, and they feel insecure when adjusting to a new environment or performing a task or activity in a regular class. Such insecurity, along with pre-existing sense of inferiority, makes them even more socially withdrawn (Pillips, 1993; Wayment and Zetlin, 1989). Also, children with disability gain low self-concept from deficient academic ability (Huntington and Bender, 1993), do not have a sense of belonging in a regular class, and have many difficulties in school life because they cannot form adequate social relationships within various relationships in school (Park, 2003; Lee and Park, 2007).
Recently, various art therapies for improving self-esteem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being researched and popularized. Art therapy is a new method of psychotherapy that helps alleviate unstable and pathological mental state and symptoms of a client through various artistic creative activities. Art therapy encompasses therapeutic methods using artistic media of various fields, such as music, ballet, theater, photograph, and calligraphy.
Photo therapy, which is a branch of art therapy, uses photograph images and process of taking photographs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the thought and behavior of the client (Krauss, 1983). Photo therapy differs from other art therapies in three properties: archivability, factuality, and communicability. These properties allow development of trust, playback of memory, and manifestation of cognitive style in the structure of human mind. For a client with strong passivity, the requirement for active creativity of the art therapy may be a burden. Photo therapy, on the other hand, can be performed without such burden. Photo therapy is not as popular as visual arts therapy or music therapy, but it is a branch of art psychotherapy that attempts to heal the client’s trauma. Because photograph as a media is very detailed and empirical, it will establish strong trust in the client. Visual art work involves expressing our inner unconscious mind as a concrete work of art in reality. In contrast, photograph analyzes external image and elicits inner problems buried within the unconsciousness. Self-expression through visual art is symbolic and its meaning is highly personal, which makes the interpretation difficult. However, photograph finds meaning, explanation, and content from a specific image and facilitates the interpretation (Park, 2004).
Kim (2003) commented on photograph’s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since the meaning of the world seen through a photograph can differ depending on the person’s view of the world, the process of taking and reading a photograph can be interpreted as an educational activity that exhibits a certain form of expression. Kim (2009) thought that more meanings can be extracted than a simple expression from a photograph, and regarded the ability of photography to bring about a cognitive shift as its educational ability. Photograph is an easily-accessible media, and the act of taking a photo is an activity with an accompanying mechanism. Therefore, manipulating a machine may be a huge challenge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who have low differentiation of self (Park, 2004). Stewart (1979), who developed photo therapy as an independent branch of art therapy, asserted that through creative activities using photography, such as taking, developing, and printing photos, photo therapy using a film camera can alleviate psychological disability and enable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treatment. As such, film camera has diverse elements that can be utilized in photo therapy. There are wide choices in film and camera, and by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new knowledge such as taking photos using a pre-defined operating procedure and checking film,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an feel self-fulfillment. Having choices in film and camera acts as an advantage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may easily lose interest. Such photo therapy draws strong interest from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may serve to heighten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

이상 서울대학교에서 의뢰한 긍정적인 자아개념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