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건강정보(PHR) 번역

 

개인건강정보(PHR)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개인건강정보(PHR) 번역

개인건강정보(PHR) 번역(한국어 원본)

의료이용에 있어서, 과거에는 수동적이고 의료 기관만을 믿고 따르던 형태에서 최근에 소비자들은 자신의 건강문제에 대한 자기 건강관리 능력을 확보하고 개인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포괄적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제공되기를 원하고 있다. 또한 높은 인터넷 보급과 다양한 커뮤니티 활동 등을 통하여 자신의 건강에 대해 능동적으로 묻고, 논의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가적 차원의 캠페인 운동 등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질병예방, 건강증진과 같이 자신의 건강을 돌보고 질병을 예방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의료이용이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보건의료의 이용이 의료서비스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전환되어가면서 환자 본인의 건강정보와 알 권리 보장이 부각되고 이에 따라 의료전달체계 내에서 소비자와 공급자의 상호보완 및 참여적인 필요성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변화에 따라 환자 자신의 건강정보를 알기 위하여 환자가 주체가 되어 자신의 의료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도구인 개인건강정보(PHR)가 생기게 되었다.
개인건강기록(PHR)은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평생 건강정보를 열람하고 통합하며 정보가 필요한 사람에게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게 만드는 도구의 집합이다[1]. 그러므로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와 함께 개인이 기록한 자신의 건강정보기록이 추가되었을 때 개인건강기록(PHR)은 자신의 건강관리에 더욱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만드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오늘날 개인의 의료정보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의료기관에 산재되어있고, 진료정보가 개인의 수첩이나 컴퓨터에 기록되어 있거나 대부분 개인의 기억에 의해 좌우된다. 다시 말해서, 현재 각 병원들의 정보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보건의료정보 취급기관들은 개인의 진료와 관련된 대규모의 의료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기관별로 각각 따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정보간의 교환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정보 데이터는 환자의 기초정보 파악, 진료에 참여하는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수단, 환자진료 목적 뿐만 아니라 건강보험청구의 근거자료, 제공된 진료의 적정성과 합법성을 입증하는 법적 자료, 보건의료의 연구나 교육의 기초자료, 임상의 질(Quality)개선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4]. 또한 개인이 자신의 개인의무기록을 볼 수 있는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의견이 89.5%, 그렇지 않다는 의견이 16.9%로 개인의 의료정보에 관한 인식은 매우 높았다[5].
이미 선진국에서는 개인건강기록(PHR)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가 긍정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한 예로 미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Google사의 Google Health와 Microsoft사의 HealthVault 홈페이지를 이용한 개인건강기록(PHR)의 만족도는 91.7%로 나타났으며 기록의 접근 편의성에서는 100% 만족하였다[6].
국내 EHR 핵심공통기술 연구개발사업단(CiEHR)의 개인건강기록(PHR) 수요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인 중 개인건강기록(PHR)의 인식도는 8.5%로 매우 낮은데 비하여 사용할 의사가 있는 사람은 59.8%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중 여성이 남성보다, 연령과 소득이 높을 수록, 본인 및 가족의 질환이 있는 경우, 건강정보획득을 위해 인터넷 이용경험이 있는 경우 개인건강기록(PHR)의 사용의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8].
최근까지 국내의 개인건강기록(PHR) 관련 논문들은 주로 인식도 조사와 단순 연령별 비교로 이루어졌다. 또한 수요자의 요구나 개인건강기록(PHR) 기능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없고 자의적인 판단에 의한 시스템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대형의료기관, 인터넷 건강서비스업체를 중심으로 부분적 개인건강기록(PHR)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정보기술(IT)의 접근성과 활용도가 높으므로 현재 전자건강기록(EHR: Electronic Health Record)의 구축과 함께 개인건강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향후 개인건강기록(PHR)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러 관점에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하며 의료이용자(소비자)와 의료제공자 주체가 어떤 요구를 하는지에 대한 미래지향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개인건강정보(PHR) 번역(영어 번역본)

In medical care utilization, consumers have changed from being passive and fully trusting the medical institution to wanting to secure self care ability to manage one’s own health problems and being continuously provided the comprehensive service required for individual health care. With prevalence of internet, they are also tending to actively ask and discuss about their health through activity in various online communities.
Due to the national campaign and other activities, medical care utilization is changing into a customer-centered service along with change in the social climate that consumers must promote their own health and prevent disease. As the use of public health care is changing from provider-centered to consumer-centered,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and the right-to-know is brought into interest. And as a result,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consumers and provider within the healthcare delivery system is required.
To keep up with such a flow and change of the period, patient health record (PHR) has been formed for the patient to actively manage one’s own medical information.
Personal health record (PHR) is a set of tools that combine lifetime’s health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allow an individual to access one’s own information, and enable people requiring the information to appropriately apply that information [1]. Therefore, when health information record recorded by the individual is added along with information on the disease and the treatment, PHR can serve as a tool that induce an individual to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one’s own health care.
An individual’s medical information today is scattered across different medical service providers and medical institutions, and medical examin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in one’s own notes, computer, or dependent on one’s own memory. In other words, although informatization of hospitals is rapidly progres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nd institutions handling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are each separately storing large medical information database and there is no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institutions.
However, such medical information data is used for obtaining basic information of the patient,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participating in the treatment, and patient diagnosis, as well as for legal document proving appropriateness and legitimacy of the provided treatment, basic data for medical research or education, and improvement in clinical quality [4]. Also, a survey showed that 89.5% of respondents agreed and 16.9% of respondents disagreed that an individual must have a right to access one’s own medical record, demonstrating high awareness of individual medical information [5].
PHR service is already provided in developed countries and the results are positive. For example, satisfaction level of PHR using Google Health (Google) and HealthVault (Microsoft) was 91.7%, and 100% of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venience of record access [6].
According to the report on demand for PHR by Korea’s CiEHR (Center for interoperable Electronic Health Record), awareness of PHR among general population was very low at 8.5% while those with intention to use PHR was high at 59.8%. Intention to use PHR was higher in women compared to men, in groups with higher age and income, in groups with a history of disease in oneself or family, and in groups with experience of using internet for acquiring health related information [8].
Up to recently, PHR related papers in Korea have mainly focused on awareness survey and comparison by age. Also,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consumer demand or PHR functions and systems and services are provided arbitrarily, with partial PHR services provided by several large medical institutions and internet health service corporations. Because Korea has high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IT, establishment of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is expected to lead to increased utilization of PHR.
Therefore, for future vitalization of PHR,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must be performed, and future-oriented research on demands by the medical service users (consumers) and the medical service providers is required.

.

이상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의뢰한 개인건강정보(PHR)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