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쇼핑몰 번역

 

의류 쇼핑몰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의류 쇼핑몰 번역

의류 쇼핑몰 번역(한국어 원본)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여 년간 진행된 웹 기반의 의류쇼핑몰 연구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는 것과 선행연구에 사용된 다양한 기준을 참고로 의류쇼핑몰 유형을 상세히 재분류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2000년부터 최근까지, 지난 10여 년 간 발표된 웹 기반의 의류쇼핑몰에 대한 연구 118편을 분석한 결과, 연구 중 무려 116편이 PC 웹 기반의 의류쇼핑몰에 대한 연구로 지금까지 관련연구는 대부분 PC 웹 기반의 의류쇼핑몰 연구를 중심으로 이뤄져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반에 따라 나눠진 유형을 다시 연구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PC 웹 기반의 의류쇼핑몰 연구는 의류쇼핑몰의 구매행동 관련연구, 구전행동 관련연구, 웹 사이트 및 상품정보 제시 관련연구, 구매중독 관련연구, 판매상품 관련연구, 반품행동 관련연구, 서비스 관련연구, 시스템 관련연구, 현황 및 마케팅전략 관련연구, 프로모션 관련연구의 10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반면, 모바일 웹 기반의 의류쇼핑몰 연구는 의류쇼핑몰 도입에 관한 연구와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의 2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시기별 연구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주제에 따라 분류된 논문을 다시 연대별로 재분류하였다. 각 연대를 4년을 주기로 초반기(2000년~2003년), 중반기(2004년~2007년), 후반기 (2008년~2011년)로 나눠살펴본 결과, 초반기는 구매행동연구와 더불어 시작단계였던 시기적 특성 때문에 현황 및 마케팅 전략분석이나 사이트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다 중반기에 접어들며 기존의 연구유형 외에도 서비스나 시스템 관련연구, 구매중독 관련연구, 프로모션 관련연구 등 초반기에 비해 좀 더 다양한 각도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의 양적인 부분 역시 초반기 28편이던 것이 중반기에는 44편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후반기에 접어들어서는 초 · 중반기에는 거의 볼 수 없었던 구전효과나 반품행동과 같이 구매 이후에 나타나는 행동들에 대한 연구가 두드러졌다.
넷째, 갈수록 세분화되고 있는 의류쇼핑몰 시장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를 위해, 의류 쇼핑몰의 유형분류를 새롭게 실시하고자 취급상품, 판매형태, 운영형태의 3가지 명확한 기준을 토대로 의류쇼핑몰유형을 재분류하였다. 먼저 취급상품을 기준으로 하는 의류쇼핑몰 유형분류의 경우, 총 5단계에 걸쳐 분류가 이루어졌다. 다음, 판매형태를 기준으로 하는 의류쇼핑몰 유형분류의 경우, 총 2단계 혹은 3단계에 걸쳐 분류가 이루어졌다. 세 번째, 운영형태를 기준으로 하는 의류쇼핑몰 유형분류의 경우, 총 2단계에 걸쳐 분류가 이루어졌다.
앞으로의 후속연구에서는 경쟁구도가 과열된 PC 웹 기반의 의류쇼핑몰의 경우, 좀 더 효과적인 마케팅전략 수립을 위해 연구방향에 따라 세분화된 유형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반면, 모바일 웹의 의류쇼핑몰에 대한 연구는 연구 대상이 대부분 모바일 웹 기반의 의류 쇼핑몰 사용 경험이 전혀 없는 경우가 많아, 실제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을 통한 실증적인 연구가 반드시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의류 쇼핑몰 번역(영어 번역본)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ategorize different studies conducted on online fashion stores in past 10 years based on the type of study and to reclassify types of the online fashion stores based on the criteria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116 studies out of 118 studies on online fashion stores conducted from 2000 to recent years were based on PC web. It was shown that the majority of relevant studies were focused on PC web-based fashion stores.
Second, the studies on PC web-based fashion stores were reclassified into 10 different categories based on their topics: purchase behavior, word-of-mouth behavior, website and product information presentation, shopping addiction, products for sale, return behavior, customer service, system internal system of website, present condition and marketing strategy, and promotions. However, mobile web-based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2 categories, which were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fashion stores and study on purchase behavior.
Third, in order to observe studies conducted at different times, we once again reclassified the studies chronologically. Studies were divided into early phase (2000-2003), middle phase (2004-2007), and latter phase (2008-2011), with each phase 4 years long. In the early phase, in addition to studies on purchase behavior, studies on present condition, marketing strategy, and website constituted the majority of studies conducted because the research on the field was just starting to grow. In the middle phase, various studies such as studies on service, system, shopping addiction, and promotions were conducted. The number of studies also increased from 28 in the early phase to 44 in the middle phase. However, studies conducted in the latter phase showed new patterns of study, such as word-of-mouth effect and return behavior. 
Fourth, in order to conduct an effective study on diversifying fashion market and develop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fashion stores, we reclassified the types of fashion stores according to their merchandise, form of sale, and form of operation.  For merchandise-based classification, stores were classified through 5 steps. For classification based on the form of sale, either 2 or 3 steps were involved in the classification process. Finally, for classification based on the form of operation, 2 steps were involved. 
For future studies to be conducted on competitive PC web-based fashion stores, more specific classification of studies according to their purpose is necessary for developing a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On the other hand, studies regarding mobile web-based fashion stores must be conducted on subjects with relevant experience, since most of the subjects do not have direct experience purchasing fashion items on mobile web. 
 

.

이상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의뢰한 의류 쇼핑몰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