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전시공간 번역

 

박물관 전시공간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 번역)

 

박물관 전시공간 번역

박물관 전시공간 번역(한국어 원본)

대한민국에서는 1909년에 건립된 제실박물관 이후, 다양한 장르의 뮤지엄이 건립되어 시민을 위한 사회교육의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특히 국민의 문화욕구가 증가하고 지방자치제도가 본격화되어 지역의 독자성 수립의 요구가 증대된 1990년대를 기점으로 많은 뮤지엄이 건설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뮤지엄의 양적인 성장과는 무관하게 뮤지엄 건립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이 선행되지 않았기에 적지 않은 시행착오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뮤지엄을 방문하는 관람객의 관람행태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아 뮤지엄 고유의 기능인 사회교육이 보유하고 있는 방대한 지식에 비하여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뮤지엄의 전시공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방대하게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뮤지엄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관람객의 관람포기와 관람지속 등의 관람행태가 전시공간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그 인과관계뿐만 아니라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전시공간 구성방식과 주말과 주중에 따른 관람밀도의 차이로 다양한 관람패턴과 관람행태가 예측되는데 이에 대한 연구가 빈번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뮤지엄 전시공간의 구성방식이 관람행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주말과 주중으로 나누어, 관람밀도에 따른 관람속도 및 관람포기, 그리고 관람지속의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뮤지엄의 적절한 관람행태의 유지와 효과적인 사회교육을 위한 뮤지엄의 계획적 지표의 제시에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 건립된 한국 수도권에 소재한 중규모 역사계 뮤지엄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1990년 이후를 연구사례의 시기적 기준으로 선정한 이유는 이 시기가 산업화를 통한 경제적 안정기에 진입하여 국민의 문화예술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출연하기 시작한 시기이고, 또한 지방자치제의 본격적인 도입을 계기로 각 지방자치체의 독자성(identity) 발견 및 홍보를 위한 뮤지엄의 건립이 왕성히 진행된 시기이기 때문이다. 역사계 뮤지엄이 선정된 이유는 본 연구가 전시공간의 구성방식에 따른 관람행태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인데, 역사계 뮤지엄에서는 전시 쇼케이스의 사용비율이 높아 비교적 다양한 전시방식이 연출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가 주말과 주중의 관람객 분포 밀도차가 관람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이기에 관람객의 용이한 접근성을 고려하여 연구사례를 인구밀도가 높은 수도권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뮤지엄의 성격, 지리적 위치와 더불어 규모 및 전시공간 구성방식 등 뮤지엄의 구조적 관계들을 고려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수원화성박물관 <MW-1>, 실학박물관 <MW-2>, 전곡선사박물관 <MW-3> 그리고 국립민속박물관 <MC-1>, 전곡선사박물관 <MC-2>, 세종&충무공 이야기 <MC-3>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뮤지엄의 전시공간 구성방식과 관람행태의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결과들이 관람밀도의 측면에서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각 사례 뮤지엄 전시공간의 Isovist와 통합도 그리고 관람행태 들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먼저, 관람객의 전시공간 구성방식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파악하고자Isovist 기법을 사용하여 가시영역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경유의 정도가 가장 높아 관람객에게 있어 공간이해의 기준이 되는, 전시 층의 통합도가 가장 높은 공간에서, 전시공간으로의 가시영역을 도식화하였다. 이는 전시공간으로의 시각적 침투성(permeability)를 의미하는데 이를 통하여 관람객의 전시공간 구성방식에 대한 시각적 이해의 정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Observation Study를 시행하여 관람행태를 산출하고, 이를 전시공간 구성방식의 Isovist 분석결과와 상관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시공간 구성방식에 따른 관람행태가 관람밀도의 측면에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각적 가시도와 관련하여 “관람객이 전시공간 구성방식을 얼마나 이해하여 해당 공간을 경유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지표로 전시공간의 통합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전시공간의 구성방식이 관람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관람밀도의 측면에서 확인하고자 평일과 주말의 관람행태와 전시공간 통합도를 각각 7단계로 분류하여 이들의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전시공간 통합도 7단계와 주중과 주말의 관람행태 7단계 차이를 분석하여 전시공간 구성방식과 관람밀도가 주중과 주말의 관람행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 하였다. 그리고 앞선 분석결과의 차이를 도출하여, 전시공간 구성방식과 관람밀도가 각 전시공간 구성방식 별 관람행태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순서를 바탕으로 전시공간 구성방식과 이에 따른 관람밀도가 관람행태에 미치는 영향 및 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박물관 전시공간 번역(영어 번역본)

Since the construction of Imperial Museum in 1909, various types of museums have been established in South Korea with a purpose of social education. Such trend accelerated since 1990s as citizens’ cultural demands intensified and independence in local governance spurred further local developments. However, such quantitative growth did not accompany systematic planning for museum establishments, resulting in a substantial number of failures. It is especially regrettable that insufficient examination of museum viewing patterns has rendered museums to fall short of their vast potential as an engine for social education. Despite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on museum exhibition space, the reasons for visitors to either give up or continue viewing have not been conclusively known. The effect of exhibition organization as well as difference in viewer concentration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on viewing patterns and behaviors has also been neglected.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space organization on viewer behaviros on weekdays and weekends, as measured from viewing speed, and whether or not a viewer gives up viewing in the middle.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may be used to help sustain desirable museum viewing patterns, and to aid plan for future museums for effective social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has examined mid-sized history museums built since 1990s in the greater Seoul area. Since 1990s, successful industrialization of the country increased citizens’ cultural demands, and the newly independent local governments actively pursued construction of new museums as part of the establishment of local identity. This study focuses on history museums, as they employ more diverse exhibition strategies with high incidence of exhibition showcases. Greater Seoul area has been chosen as its high population density ensures easy access for more visitor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 location, siz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space organization, the study has examined Suwon Hwaseong Museum <MW-1>, the Museum of Silhak
<MW-2>, Jeongok Prehistory Museum <MW-3>,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MC-1>, Jeongok Prehistory Museum <MC-2> and Story of King Sejong & Admiral Chungmugong <MC-3>.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of museum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and viewing patterns, their correlation with viewer concentration was examined by isovist, integration and viewer behavior. First, visibility was analyzed with isovist methodology to see how well viewers understand the space organization. To this end, a diagram was produced for the space with highest floor-wide integration, which gives the standard for viewers’ understanding of exhibition space due to its greatest degree of viewer passage. The visual permeability in an exhibition space allows one to measure viewers’ understanding of exhibition organization. Then, the viewer behaviors deduced from an observation study were compared with isovist analysis results. Such comparison is aimed at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 behavior implied from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and viewer concentration.
Additionally, the exhibition space integration was calculated to quantify “how well a viewer can understand the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and utilize the space” related to the visibility. With this method, the viewer behaviors on weekdays and weekends, and space integration were each assigned one of seven categories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on viewer behavior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space integration category and weekday / weekend viewer behavior category was analyzed to show the effect of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and viewer concentration on viewer behaviors on weekdays and weekends. Further, the disparities from different analyses were extracted to recognize the influence of viewer concentration on viewer behaviors for each type of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In this sequence, the effect of the exhibition space organization and corresponding viewer concentration on viewer behaviors has been measured.

.

이상 경희대학교에서 의뢰한 박물관 전시공간 번역(한영 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