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배출 번역

 

대기오염 배출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대기오염 배출 번역

대기오염 배출 번역(한국어 원본)

배출원의 공간적 집중과 오염도 간의 관계 기술
고밀개발에 따른 대기오염의 영향에 관한 여러 논의가 있었는데, 그 중 배출 오염원의 공간적 집중이 대기질을 악화시킨다는 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CBD에 배출원이 집중하여 대기질을 악화시킨다는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기 위해 CBD로 부터의 거리에 따른 오염도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범위는 2009년 기준(즉, 2009년 데이터를 이용한 것을 의미!) 대기오염측정소가 있는 85개 동(neighborhoods)의 수도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CBD로부터의 거리 변수 산정은 다음 2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서울, 인천과 경기도의 25개 도시를 대상으로하여 각 도시별로 CBD를 선정한 다음, 여기에서부터 대기오염측정소까지의 거리로 하였다. 두번째는 수도권을 하나의 지역으로 본 다음 서울 시청(CBD)에서부터 동별 대기오염측정소까지의 거리를 구하였다.
도시별 CBD로 부터의 거리에 따른 오염물질농도 분포를 살펴본 결과, 미세먼지는 유의미하게 CBD에 가까울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0에 가까운 값을 보이며, 오존은 CBD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아황산가스와 이산화질소는 CBD이거나 혹은CBD가 아닌곳에서도 오염도의 차이가 없음을 보여준다, 일산화탄소는 CBD에 가까울수록 오염도가 높으나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청(CBD)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오염도 분포는, 이산화질소와 일산화탄소는 CBD에 가까울수록 오염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오존과 미세먼지는 그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아황산가스는 CBD에 배출원이 집중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CBD로 부터의 거리를 선정하는 방식에 따라 오염도 분포가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배출원이local level에서의 집중인가 아니면 city-wide 측면에서의 집중인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미세먼지는 local level에서 CBD에 배출원이 집중되어 있는 반면 이산화질소는city-wide 측면에서 CBD에 가까울수록 오염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일산화탄소는 CBD산정방식에 따라 유의미하기도 혹은 유의미하지 않기도 하지만 CBD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오염도 분포가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배출원이 CBD에 집중되었을 가능성을 의심해볼 수 있다. 오존은 배출원의 공간적 집중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그의 주장을 일부 뒷받침하나 전적으로 수긍하기는 곤란하며, 오픈 스페이스 확보는 오염물질의 분산효과를 증대시켜 대기오염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여지를 높인다는 것을 암시한다. local level에서는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책이 우선적으로 요구되며, 이산화질소는 주요 배출원이 차량인데다가 서울의 교통량은 수도권 교통량의 44.8%를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통행 흐름 분산 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대기오염 배출 번역(영어 번역본)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oncentration of Emission Source and Pollution Level
Among various discussions on the influence of air pollution resulting from high density development, we should take notice of the argument that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emission pollutants aggravates air quality. That is, in order to conduct a verification of the study result that air quality worsens when emission sources are concentrated in the CBD, we observed the distribution of pollution levels by the distance from the CBD.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subjected to the Seoul National Capital Area (SNCA) with 85 neighborhoods that have an air pollution measurement station, based on data from 2009, and the following 2 methods were used for variable measurement of the distance from the CBD. First, we selected a respective CBD for each of 25 cities from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and defined the distance to an air pollution measurement station as starting from those areas. Secondly, assuming the SNCA as a single area, we computed the distances from Seoul City Hall (CBD) to the air pollution measurement stations of each neighborhood.
After studying the pollutant concentration distribution by the distance from the CBDs of each city, particulates appear significantly higher when getting closer to the CBD but show a value close to 0, while ozone decreases when getting further away from the CBD. Sulfur dioxide and nitrogen dioxide show no difference in pollution level whether in the CBD or not, while carbon monoxide has a higher pollution level when getting close to the CBD but it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Regarding the pollution level distribution by the distance from Seoul City Hall (CBD), nitroge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have a high pollution level when getting closer to the CBD, while ozone and particulates had the opposite result. Sulfur oxide showed that its emission source is not concentrated in the CBD.
In conclusion, the pollution level distribu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method used to compute the distance from the CBD, and there was a need to differentiate whether the emission source was concentrated at a local level or from a city-wide perspective. While particulates have emission sources concentrated in the CBD at a local level, nitrogen dioxide showed a higher pollution level as it became closer to the CDB from a city-wide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carbon monoxide may be significant or insignificant depending on the applied CBD computation method, but because the pollution level distributions by distance from the CBD are showing identical conditions, we can suspect that the emission sources are concentrated in the CBD. Ozone turns out to be irrelevant with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its emission source.
This study result partially supports his argument, although it’s difficult to entirely agree with it, and implies that obtaining open space can increase the dispersion effect of pollutants and contribute to air pollution reduction. A measure for reducing particulates is preferentially in demand on the local level, and considering that the major emission source for nitrogen dioxide are cars and that Seoul’s traffic covers 44.8% of that of SNCA, traffic flow dispersion must be made more efficiently.

.

이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에서 의뢰한 대기오염 배출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