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규제 번역

 

화장품 규제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화장품 규제 번역

화장품 규제 번역(한국어 원본)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은 최근 10년 동안 꾸준한 상승을 해오면서 2000년 3조 1천억의 생산규모가 2010년 6조로 약 2배 규모로 성장했지만 지속적인 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세계 화장품 시장 점유율은 2.1%로 선진 화장품 시장의 벽은 높기만 하다. 화장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우수한 미국, 유럽, 일본은 화장품의 신속한 시장 진입을 보장하고 시장중심의 소비자 안전을 강화하는 관점에서의 상호 국제조화를 이루어가며 지속적으로 규제환경의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들의 최신 변화흐름을 파악하여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의 기반이 될 수 있는 국내 규제환경의 신속한 변화와 대응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유럽, 일본의 규제체계를 화장품의 시장진입절차에 따라 재배열하여 첫째 화장품의 범위, 둘째 화장품 원료에 대한 규제, 셋째 화장품의 안전성 관련 규제, 넷째 표시기재 의무사항, 다섯째 시장진입을 위한 사전규제, 여섯째 피규제자의 책임과 의무, 일곱째 광고 규제, 여덟째 정부의 감독규정을 비교 주제로 도출하였고, 주제별로 한국 규제와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화장품의 범위, 시장진입의 속도 및 장벽의 높이, GMP 운영, 표시기재 의무사항, 소비자 안전에 대한 정부와 기업간 책임의 균형에 항목에서 선진 규제환경과의 여전한 격차를 찾아낼 수 있었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의 화장품 산업 규제환경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아직까지 좁혀지지 않은 국제 선진 규제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 의약외품의 일부를 화장품으로 전환하고, 시장진입의 속도를 개선할 수 있도록 기능성화장품의 유형 관리와 심사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화장품 산업에서도 GMP 도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합리적이고 산업에 적합한 GMP 운영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표시기재는 국제적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국가간 협의를 강구해야 하고, 정부의 산업규제 관점을 글로벌 선진국가와 같이 기업주도형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안전성과 법규준수에 대한 기업의 책임을 전제로 법률의 요건에 적합한 화장품이 즉각적인 시장 접근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전 규제 요소를 최소화하고 철저한 사후 관리(in-market control)를 통해 안전을 담보하는 것이 주요 선진국의 공통점으로 분석된다. 선진 외국의 화장품제도가 화장품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요소는 무엇보다도 신제품 개발과 시장 진입의 장벽이 낮다는 것과 무한한 시장 경쟁을 통한 성장이 가능하다는 부분이다.
우리나라의 화장품 관리 규제도 2011년 화장품법의 전부개정을 단행하면서 이러한 선진 규제에 거의 대부분 조화를 이루어 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법률의 집행과정에서는 아직도 아쉬운 부분이 남아 있다. 정책의 수립과 집행의 역량이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한다는 것을 화장품 선진국의 규제 현황을 살펴보면서 더 절실히 느끼게 된다. 화장품 산업은 특히나 트렌드에 민감하고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인데 규제 환경의 변화속도는 산업을 앞지를 수 없다. 그러나 산업의 변화에 좀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규제를 유연하게 바라보는 시각이 요구된다.

화장품 규제 번역(영어 번역본)

South Korea’s cosmetic industry has increased steadily for the past 10 years. In 2000, the production scale of this industry was around 3.1 trillion won, and in 2010, it doubled to 6 trillion won. Despite continued growth, however, South Korea’s market share in the world cosmetic industry is only 2.1%. This is due to the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the South Korean cosmetic industry and those in developed countries. The cosmetic industries of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which have excellent global competitiveness, guarantee efficient market entry, achieve mutual international agreement by strengthening market-oriented consumer safety, and continuously make changes to their regulatory system. Analyzing these differences is necessary to make effective changes and responses to the domestic regulatory system, which can become th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cosmetic industry into the global market.
In this research, the regulatory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we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market entry procedure for cosmetics. The following themes have been compared: first, the range of cosmetics, second, regulations on cosmetics ingredients, third, regulations related to the safety of cosmetics, fourth, mandatory labeling requirements, fifth, ex-ante regulations for market entry, sixth, responsibilities and duties of abiding entities, seventh, advertisement regulations, and eighth, monitoring regulations of the government. For each theme, a comparison with South Korean regulations was made.
The research concluded that there were stil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gulatory systems of developed countries and South Korea. These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range of cosmetics, speed and difficulty of market entry, GMP implementation, mandatory labeling requirements, and the balance of responsibiliti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business on consumer safe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rovements were recommended on the regulatory system of South Korea’s cosmetic industry. In order to reduce the gap with international regulations, some pharmaceuticals must be classified as cosmetics and improvements must be made on the category management and review systems of functional cosmetics to enhance the speed of market entry. The necessity for introducing GMP is rising even in the cosmetic industry, but reasonable and appropriate GMP methods must be considered before implementation. International agreement on labeling must be achieved through negotiations between countries, and the government perspective of industry regulations must be changed into a corporate-led type, which is the case in developed countries.
The responsibilities of businesses for a product’s safety and their compliance with regulations must be established. After this is established, ex-ante regulatory elements must be minimized for immediate market accessibility of a legal cosmetic product. Then, in-market control must guarantee safety. These are the common factors seen in developed countries. Above all, new product developments, easy entry into the market, and infinite market competition ar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high competitiveness in the cosmetic industry of developed countries. These factors are all made possible because of their cosmetic regulations.
After undergoing a full-scale amendment of cosmetic laws in 2011, South Korea’s cosmetic management regulations can be said to be mostly compatible with regulations in developed countries. However, the execution process of these regulations are still unsatisfactory. By studying the cosmetic industries of developed countries, it was proven that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their execution capabilities are crucial in determining the competitiveness of an industry. The cosmetic industry is especially sensitive to trends, which changes at a fast rate, but the changing speed of the regulatory system cannot outrun that of the industry. Thus, perspectives to make regulations more lenient and flexible, in order to respond more sensitively to the fast changing demands of the industry, is required.

.

이상 성균관대학교에서 의뢰한 국내외 화장품 규제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