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 융합서비스 번역

 

ICT 융합서비스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ICT 융합서비스 번역

ICT 융합서비스 번역(한국어 원본)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이하 ICT)의 발전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smart device(smart phone, Tablet PC etc.)의 확대는 단순히 새로운 통신기기의 등장이 아니라 사람들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의 경우 2009년에 스마트기기가 도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1년 현재 이미 2,000만 명 이상(전국민의 약 40%)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통행시간 중 ICT의 사용선호도와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2), 무선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장소는 집(72.6%)을 제외하면 이동중인 차량(71.7%)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민간 차원에서는 SNS, 모바일 뱅킹, 모바일 쇼핑, 인터넷 전자상거래, 정부 차원에서는 Smart Gov , Smart Work 등과 같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정책과 활동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확대는 이동 중 행태를 변화시켜 Social Activities을 변화시키고, 이는 개인의 Social Network를 변화시켜 궁극적으로 Smart Knowledge Society를 견인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ICT에 의한 통행 중 활동의 다양화인데, 이러한 다양한 활동들로 인해 통행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함으로써 사람들은 통행 중에 긍정적 정서를 느끼게 될 것이며, 이는 결국 통행시간의 효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이러한 통행 중 활동에 의한 통행시간 효용의 변화는 자가용(운전자) 보다는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더 크게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ICT에 의한 변화를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ICT와 통행행태에 관한 선행연구는 크게 세 가지 테마로 축약할 수 있다.
첫째, 거시적 차원에서 ICT의 등장이 통행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서 90년대말 초기연구에서 이들간의 관계는 주로 ‘대체’로 나타났으나, 최근에는 ‘동반상승’관계로 나타나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통신과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활동간에 강력한 ‘대체’관계가 발견(Pendyala, Goulias, and Kitamura, 1991; Saxena and Mokhtarian, 1997)되었다. 또한 ICT와 통행행태간의 상호작용에는 substitution, synergy, amplification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Mokhtarian & Meenakshisundaram, 1999; Alber, 1975). 또한 전화 사용과 물리적인 이동성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존재하는 반면, 인터넷 사용은 통행에 대한 시간 소비와 부정적인 관계(Meenakshisundaram and Goulias, 2001)로 나타났다. 단기간의 실증분석에서는 ICT가 통행을 대체하는 효과가 발견되나, 장기간의 분석에서는 종종 ICT와 활동행태간에 유의미한 상승효과가 있으며(Mokhtarian and Salomo, 2002), 통신기기(유선전화, 모바일폰)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로 다른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일과 관련된 활동에 대해서는 대체효과, 자율적 판단이 가능한 활동에 대해서는 보완효과, maintenance 활동에 대해서는 중립적이다(Senbi and Kitamura, 2003).
둘째, 미시적 차원에서 통신활동을 통행의 잠재적 의도로서 볼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연구로서 이동성을 판단할 때 통신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통신의 가능성과 빈도 등을 시공간적 영역에 투영시키고 이를 통행행태와 연관지어 분석하는 연구이다. ICT의 영향은 통신기기가 사용되는 위치나 지역에 따라 달라지며(Kim and Goulias, 2004), 사람들은 통행 중에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을 때 더 많은 즐거움을 느끼고, 이것은 통행거리의 증가로 귀결될 수 있다고 예측(Ory & Moktarian, 2005; Dijst , 2004)하였다. Kuniaki et al. (2010)은 통신이 통행의도를 측정하는데 주요한 요소이며, 통행, 개인의 특성, 통신은 interacting and interdependent으로 기존의 이동성 개념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제시하였다.
셋째, 보다 미시적인 차원에서 사람들이 통행 중에 가장 많이 하는 활동과 이러한 통행 중 Multitasking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와 함께 통행 중 다양한 활동이 통행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상적인 통근시간은 제로가 아니며(Young & Morris, 1981; Moktarian & Salomon, 2001), 만약 사람들이 통행 중에 편안하게 어떤 활동에 열중할 수 있다면, 통행의 비효용은 줄어들 것이고, 절감된 통행시간의 가치는 줄어들 것(Lyons & Urry, 2005)이라는 관점이다. 또한 ICT의 빠른 확산은 통행 중인 사람들에게 더 많은 활동 기회를 제공(Moktarian, 2003; Lyons & Urry, 2005; Ohmori et al., 2006)하고 있으며, 통행 중 Multitasking은 통행시간의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한 연구(Ettema and Verschuren, 2007)가 있다. Jain and Lyons(2008)은 통행시간은 때때로 burden이라기보다는 gift로 인식되고 경험될 수 있으며, 여행을 좋아하는 경우도 긍정적 효용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지리학이나 교통분야 연구자들은 통행 중 활동 또는 multitasking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 사람들이 통행 중에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매우 제한적(Harvey, 2003; Zhang et al., 2006; Lyons et al., 2007)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기존 문헌을 토대로 ICT와 관련하여 통행의 효용을 다루는 관점을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중 한가지는 Travel Time Budget(이하 TTB)측면에서 통행 중 활동이 통행의 효용을 변화시키고 궁극적으로 교통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관점이다. 즉, 많은 사람들이 활동에서 파생된 통행시간 자체를 이용하고 있으며, 개인의 통행비용은 통행시간이 활동시간으로 전환됨에 따라 감소되고 있다. 결국 개인의 TTB가 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더 많은 통행을 가능하게 하거나 이동 중 가능한 활동이 많은 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이와 관련하여 Lyons et al. (2005)의 연구가 대표적이나, 아직은 이론적 측면에서 개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ICT 융합서비스 번역(영어 번역본)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e spread of smart devices (smart phones, Tablet PCs etc.) that can be used at any time and place is not simply the appearance of a new communication device but is predicted to bring a lot of changes to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In Korea, even though smart machines were first introduced in 2009, more than 20 million people (40% of the entire population) are using smart phones now in 2011. Also, it was shown that the ICT usage preference and frequency while moving were high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2). The most common place to use wireless Internet, other than one’s house (72.6%), was in a moving vehicle (71.7%). In addition, an increase in various activities and policies using smart devices were seen both in the non-governmental sectors, such as SNS, mobile banking, mobile shopping, and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activity, and governmental sectors, such as Smart Gov , and Smart Work .
Such expansion of smart devices will change our social activities by changing our behavior while moving, and this will change one’s social network and ultimately serve as a towing force of a smart knowledge society.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he diversification of activities when using ICT while moving. The ICT will enable people to do various activities and they would be able use their movement time more efficiently. This will give people a positive sentiment and consequently the efficiency during the movement time will also be affected. Also, changes in the efficiency during the movement time will occur greater in public transportation users rather than personal car drivers.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observe the changes that occur from using ICT.
Advanced research on ICT and movement conduct can be divided into three themes. The first is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ICT introduction on movement occurrence from a macroscopic aspect. An initial study in the late 90’s showed that they were commonly a ‘substitute’ relationship but recently, this is changing into a ‘synergy’. A lot of researches have discovered that there was a strong ‘substitute’ relationship in physical activities that happen during communication and daily life (Pendyala, Goulias, and Kitamura, 1991; Saxena and Mokhtarian, 1997). Also, it was propos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CT and movement conduct were in a substitution, synergy, and amplification relationship (Mokhtarian & Meenakshisundaram, 1999; Alber, 1975). It was also shown that whil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using telephones and physical mobility, the use of the Internet while moving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in time consumption (Meenakshisundaram and Goulias, 2001). In the short-term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ICT could substitute movement. However, in the long-term analysis, meaningful synergy effects were sometimes seen between ICT and activity behavior (Mokhtarian and Salomo, 2002). Communication devices (line telephones, mobile phones) affected different activities in different ways, showing a substitution effect on work-related activities, a supplementary effect on activities that can be done by free choice, and neutral for maintenance activities. (Senbi and Kitamura, 2003)
The second is, from a microscopic aspect, a study which asserts that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can also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ciding mobility, in order to decide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activities could be seen as a potential intent for movement, and reflects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frequency in a spatial-temporal domain to analyze in relation to movement behavior. It was predicted that the influence of ICT differs depending on the location and region of the communication device (Kim and Goulias, 2004), and that people feel more happiness when they are able to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while moving, and that it could result in an increase in moving distance (Ory & Moktarian, 2005; Dijst , 2004). Kuniaki et al. (2010) proposed that communication is an essential factor in measuring the purpose of movement, and that the existing concept of mobility was changing as movemen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are all interacting and interdependent.
The third is, from a more microscopic aspect, the study on finding out the most frequent activity done while moving, grasping the meaning of multitasking while mov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various activities on movement time can be done. The perspective is that if the most idealistic commuting time is not zero (Young & Morris, 1981; Moktarian & Salomon, 2001), and if people could comfortably concentrate on an activity while they are moving, the inefficiency of moving will decrease, as well as the value of the decreased movement time (Lyons & Urry, 2005). Also, there is a study that the swift expansion of ICT is providing more opportunity for activities to people when they are moving (Moktarian, 2003; Lyons & Urry, 2005; Ohmori et al., 2006), and multitasking while moving will influence the value of the movement time (Ettema and Verschuren, 2007). Jain and Lyons(2008) said that the movement time can sometimes be perceived as a gift rather than a burden. They also said that if people liked to travel,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a positive efficiency can occur. However, some studies done by geographers and transportation researchers assert that even though they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activities done while moving and multitasking related studies, the empirical study on what real people actually do while moving is very limited (Harvey, 2003; Zhang et al., 2006; Lyons et al., 2007).
Based on existing references,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two big perspectives on the efficiency of movement relating to ICT. The first is a Travel Time Budget (TTB) aspect. This aspect believes that a study is required because activities while moving changes the efficiency and ultimately affects the choice of transportation method. This means that many people use the movement time derived from activities and the personal movement cost decreases as movement time changes into activity time,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e personal TTB being use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make more movements possible or influence the decision to use a method in which people can do many activities while moving. The research of Lyons et al. (2005) is representative regarding this perspective, but it is only dealt generally from the theoretic aspect.

.

이상 전자통신연구원에서 의뢰한 ICT 융합서비스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