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투자 인센티브정책 번역

 

외국인투자 인센티브정책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외국인투자 인센티브정책 번역

외국인투자 인센티브정책 번역(한국어 원본)

한국은 1962년 경제개발정책을 추진한 이래 외국인직접투자에 대해서는「제한적이고 소극적인 정책」을 추진하여 왔으나, 1997년 외환위기(financial crisis)를 겪으면서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외국인 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를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게 되었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1998년 제정된「외국인투자촉진법(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이다. 이를 통하여 지난 13년간(1998-2010년)의 외국인직접투자유치 규모는 1998년 이전 35년간(1962-1997년)에 유치된 규모에 비해 5.4배에 달하는 등 유치실적이 획기적으로 증가하였고, 투자도 서비스 분야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게 되었다. 반면, 외환위기 이후 과감하게 도입한 외국인투자 인센티브(incentives)는 비용-편익 효과(cost-benefit effects)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종합적인 우선순위 하에 체계적으로 수행 되었다기보다는 외환위기라는 긴박한 상황에서 우선 신속하게 추진되었기 때문에 그 실효성과 당위성에 대하여 꾸준히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 논문은 외환위기 이후 14년이 경과한 현시점에서 외국인직접투자에서의 현행 투자인센티브제도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투자인센티브가 실제 외국인직접투자 유치에 어느 정도 기여했는지를 검증하였는데, 특히, 외환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던 외국인투자유치 실적이 2003년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당시 한국 정부는 다양한 투자인센티브 정책을 대거 도입함으로써, 이후 7년 이상 시행된 투자인센티브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검증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 결과(survey results)를 바탕으로 투자인센티브 혜택 정도를 고려한 투자자 특성별로 투자결과(investment results), 수익성(profitability) 및 인센티브에 대한 만족도 차이 분석을 통해 투자인센티브의 투자유치 효과와 투자인센티브의 차별적 운용에 대한 정책 효과를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투자인센티브제도의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을 도출하였다.
외국인투자정책(foreign investment policy)은 결국 어떻게 하면 국가가 필요로 하는 외국인투자를 원하는 수준만큼 유치할 수 있을까 하는 목표를 달성시키는 정책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투자정책을 투자인센티브 위주의 「최협의(最狹義)의 외국인 투자정책」개념을 적용하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정책은 외국인투자 소관부처나 관련부처가 투자유치를 위하여 부여하는 인센티브나 투자유치 활동을 포함하고 결국 해당 외국인 투자기업의 경영(management)이나 수익(profit)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제도를 의미하고 있다.
본 논문은 먼저 본 논문의 내용(contents) 및 분석과 관련이 깊은 국내외의 주요 논문들을 고찰하면서 이를 통해 연구가설(research hypotheses)을 도출하였다. 이에 대하여 설문조사(survey)를 통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본 논문의 설문조사는 2010년 5월부터 7월에 걸쳐 외국인투자지역(Foreign Investment Zones), 경제자유구역(Free Economic Zones) 및 자유무역지역(Free Trade Zones), IKP(Invest Korea Plaza) 입주기업 및 IK내 PM(Project Manager)관리 기업을 대상으로 직접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실증분석을 통하여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론에서 외국인 투자인센티브에 대한 투자 유치효과를 평가하면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분야별 개선방안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투자 인센티브의 투자 유치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논문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논문은 투자인센티브의 투자 유치 효과를 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학문적으로 기여도가 크다고 본다. 특히, 2003년 이후 신규 도입된 투자인센티브의 정책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부분을 고려하여 투자인센티브의 투자 유치 효과를 중점 분석한 본 논문은 기존 연구 결과를 넘어서는 시사점을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실제 투자인센티브가 과연 외국인 투자유치에 기여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상반된 견해(view)가 존재하고 있고, 아직 명확한 결론이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이나, 투자인센티브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에 대한 분류로서 먼저 투자인센티브가 외국인투자유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도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긍정적 견해가 있다. 이에는 조세인센티브(tax incentives)의 긍정적 영향9positive effects)을 다룬 연구(Hines, 2001; OECD, 2001; RootandAhmed, 1978; Balasubramanyam and Sapsford, 1994; 이용섭(Y.S. Lee), 2002; 장윤종·한병섭(Y.J Chang and B.S. Han), 2001; 전태영·변용환(T.Y. Chun and Y.H. Byun), 2006; 최기호(K.H. Choi), 2007)와 조세이외의 모든 인센티브를 포괄하여 중요한 요인(factor)으로 분석한 연구를 들 수 있다(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F), 2005).
한편 투자인센티브가 외국인투자유치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거나 부차적 요소라는 중립적(neutral) 시각도 있는데(Markusen, 1995; UNCTAD, 1996; Ellingsen et al, 2006; Milner and Pentecost, 1994; 박봉규・김용덕(B.K. Park and Y.D. Kim), 2004; 전주성(J.S. Chun), 2003; 김진수·홍범교(J.S. Kim and B.K. Hong), 2007), 특히 박봉규・김용덕(B.S. Park and Y.D. Kim)(2004)은 한국에의 외국인투자 결정요인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수익성 변수(profitability variable)이외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견해들을 종합하여 보면 한국에 투자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세제혜택(tax support), 입지(site support), 행정지원(administrative support) 서비스 등 한국정부의 적극적인 투자인센티브나 외국계 기업들의 한국시장에서 수익성 확보가 그동안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투자지원제도의 혜택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은 외국인 투자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투자결과(investment results)에 대한 만족도(satisfaction level)나 투자인센티브에 대한 만족도 및 수익성에 대한 만족도 측면에서 높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왜냐하면 만일 그러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정부가 국내기업과의 역차별이라는 비판을 무릅쓰고 국민의 세금을 재원으로 하는 투자 인센티브 제공을 해야 하는 당위성이 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외국인투자 인센티브정책 번역(영어 번역본)

Since Korea initiated its Economy Development Policy in 1962, it advocated limited and passive policies regard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ever,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it changed its governmental policies to actively induc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An institutional support was provided by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introduced in 1998. As a consequence, the siz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ducement during the thirteen years from 1998 to 2010 has become 5.4 times the size of the investment inducement made during the 35 years from 1962 to 1997. Investment also expanded extensively, including the service field.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constant dispute over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foreign investment incentives that were introduc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since they were rapidly implemented due to the urgency of the financial crisis rather than through systematic planning based on empirical analysis of cost-benefit effects.
After 14 years since the financial crisis, this paper attempts to verify the contribution of investment incentives to the actual foreign direct investment inducem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current investment incentive policies. Especially,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various FDI incentiv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FDI inducement as it decreased rapidly in 2003.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the FDI incentive policies that had been in effect for seven or more years. Toward this goal, survey results of the satisfaction level differences of incentives, profitability, and investment result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benefits investors received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Using this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incentive policies and discriminative operations of the incentives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improvements were suggested for the investment incentive policies.
The goal of foreign investment policy is to induce foreign investment up to a desired level. This paper applies the foreign investment policy concept of **** Foreign Investment Policy in the Narrowest Sense」 oriented towards investment incentives. Foreign investment policies include incentives or investment inducement activities of relevant ministries, and eventually refer to the policies that directly affect the profits and management of foreign investment enterprises.
In order to construct the research hypothesi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ontents and analysis of the current research were reviewe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Companies located in foreign investment zones, free economy zones, free trade zones, and the IKP (Invest Korea Plaza), and companies managed by the project managers within IK were surveyed from May to July of 2010. Based on these results, inducement effects of the foreign investment incentives were evaluated.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on government policy were identified to suggest comprehensive measures for improvements in each area.
Since there are only a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inducement effects of Korea’s investment incentives, this paper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presenting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nvestment inducement effects of incentives through satisfaction level analysis. Especially, considering the lack of studies analyzing the policy effects of the investment incentives that were newly introduced after 2003, this paper is expected to provide far-reaching implications beyo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re are conflicting views on the actual contribution of investment incentives to foreign investment inducement. Although consensus has yet to be reached, there exists a positive view that investment incentives are very important and crucial factors in foreign investment inducement. Examples include studies on the positive effects of tax incentives (Hines, 2001; OECD, 2001; Root and Ahmed, 1978; Balasubramanyam and Greenway, 1994; Y. S. Lee, 2002; Y. J. Chang and B. S. Han, 2001; T. Y. Chun and Y. H. Byun, 2006; K. H. Choi, 2007) and a study of all incentives including the tax incentives as important factors (Korea Institute of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2005).
There also exists a neutral view that investment incentives have a small or minor effect on foreign investment inducement (Markusen, 1995; UNCTAD, 1996; Ellingsen et al, 2006; Milner and Pentecost, 1994; B. K. Park and Y. D. Kim, 2004; J. S. Chun, 2003; J. S. Kim and B. K. Hong, 2007). Especially, B. S. Park and Y. D. Kim (2004) conduct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determinants of the foreign investment in South Korea. Results showed that only profit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oreign investment.
From these differing opinion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securement of profitability of foreign companies in the Korean market and the active investment incentives of the Korean government such as tax support, site support, and administrative support services significant affected the decision of foreign companies to make investment in Korea. Thu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investment results, investment incentives, and profitability are expected to be generally higher for foreign investment companies since they generally benefit more from the investment support policy. If the result is otherwise, the government will not have justification against the criticism of reverse discrimination toward domestic firms and to provide investment incentives using the tax money of its own citizens.

.

이상 중앙대학교에서 의뢰한 외국인투자 인센티브정책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