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 취약지 번역

 

응급의료 취약지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응급의료 취약지 번역

응급의료 취약지 번역(한국어 원본)

응급의료서비스는 빠른 시간 내에 가까운 응급의료시설로 이송하여 응급처치를 하는 것이며 또한 각 시설마다 응급의료를 해결할 수 있는 인력과 능력을 나타낸다. 응급의료서비스를 위해서는 응급서비스를 요하는 환자를 적정한 병원으로 신속하게 이송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응급처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응급의료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응급의료센터가 대부분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다. 이에 반해 농어촌에 입지한 응급의료기관의 경우 중증 응급환자들을 적절하게 응급 치료할 수 있는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농어촌지역에서 응급의료 서비스 체계가 미흡하여 사망하는 사람은 39.6%에 달하고 있으며 지역응급의료센터에서도 응급의료서비스 체계를 충족시킨 병원이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분석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할 때에 응급환자의 질병별 최소 이송시간을 고려하여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고 응급의료서비스 기관의 커버율을 높여 적절하고 빠른 처치가 가능하도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응급의료 취약지 분석에 사용할 응급의료센터는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한 기준을 따라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중앙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의 5가지의 응급의료센터에 대한 정보를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의 시도별 응급의료 기관의 분포는 표 1과 같다.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충청북도는 응급환자의 증가율이 높은 반면에 권역응급의료센터는 1곳, 지역응급의료센터 3곳, 지역응급의료기관은 14곳으로 상대적으로 응급의료 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분석에는 GIS공간분석기법 중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사용하였다. 네트워크 분석기법은 대부분 사회기반시설의 접근성 및 이용권역을 측정하는 분야에서 많이 활용된다. 네트워크 분석기법의 종류에는 경로탐색, 자원할당, 추적분석, OD비용 매트릭스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지정된 비용으로 이동 가능한 영역 또는 노선을 찾을 수 있는 자원할당유형을 사용하여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역을 분석하였다.
공간분석은 표 2와 같이 충청북도 응급의료센터(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중앙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기관)와 충청북도 15km외 지역의 응급의료센터 총 42개의 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응급의료 취약지에 대해 질병별로 최소 이송시간을 이용하여 분석하기 위해 응급의료 질병 중 중요성이 높은 질병을 선정하였으며 그에 따른 최소이송시간은 표 3과 같다. 표 3의 5가지 응급의료 질병들의 평균 최소 이송시간은 26분이다.
도로 종류별 제한 속도는 표 4와 같이 응급 이송차의 특성상 주변의 신호대기, 주변 차량의 막힘에 관한 부분에 있어서 제약이 없으며 또한 촌각을 다투는 의료 부분이기에 제한 속도의 80%를 사용하여 응급의료 취약지를 분석하였다.
표 3의 응급의료 질병을 사용하여 각각의 응급의료센터와 도로종류별 제한 속도, 질병별 최소 이송시간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그림 1과 같다. 총 5가지의 응급의료 질병에 대한 취약지역을 각각 순위로 매겨 전체적인 충청북도의 응급의료 취약지역을 나타내었다. 응급의료 취약지역은 그림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영동군 상촌면, 제천시 백운면, 제천시 덕산면 순으로 분석되었다.
응급의료 취약지 분석은 네트워크 분석을 한 결과를 가지고 충청북도의 인구와 면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표 5와 같이 인구가 많은 편에 속하는 괴산군 청천면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현재의 응급의료서비스 제공이 원활하고 적절하게 제공되고 있지 않다라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료서비스 체계 개선을 목적으로 질병에 따른 이송시간과 인구, 면적 등을 고려하여 응급의료 취약지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도로종류별 제한속도, 질병별 최소 이송시간 등을 고려하여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응급의료 취약지역을 분석한 결과 괴산군 청천면 지역이 응급의료서비스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질병에 따른 최소 이송시간을 이용하여 인구와 면적을 비교하여 취약지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질병별로 응급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지역이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좀 더 정확한 응급의료서비스 정보 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응급의료 취약지를 분석의 결과는 향후 응급의료시설의 증설시에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좀 더 다양한 인자를 고려하여 응급의료 취약지 분석을 수행하여 종합적인 응급의료 취약지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응급의료 취약지 번역(영어 번역본)

Emergency medical service is transporting a patient to a nearby medical service facility for first aid as soon as possible. It also represents the ability of each facility in dealing with a medical emergency.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the patient should be transported to an appropriate hospital quickly with appropriate emergency treatment. In the case of Korea, such medical emergency centers providing such medical emergency services a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Compared to this, the medical emergency facilities in rural areas often lack the infrastructure to appropriately treat emergency patients. 39.6% of people in rural areas die because of such insufficient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re is no hospital that satisfies the medical emergency service system even in the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current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For this, it conducted a research to increase the cover rate of each medical emergency facility for a faster treatment an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by considering the minimum transportation time of each emergency sickness when providing medical emergency services.
The paper uses data on five medical emergency centers, regional medical emergency centers, specialized medical emergency centers, local medical emergency centers, central medical emergency centers, and local medical emergenc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ndards.
The distribution of medical emergency facilities in Korea is as Table 1. Table 1 shows that while the rate of increase of emergency patients in Chungcheongbuk-do is high, it has relatively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with only one regional medical emergency center, three local medical emergency centers, and fourteen local medical emergency facilities.
For the analysis of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the GIS spatial analysis technique, among the network analysis techniques, was used. The network analysis technique is mostly used in fields that measure the accessibility and **** of social infrastructures. There are route discovery, resource allocation, trace analysis, OD cost matrix, etc. in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is paper analyzes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using the resource allocation type. This type can find a route or territory that can be used within a budget.
Spatial analysis was conducted like Table 2 on 42 medical emergency centers including Chungcheongbuk-do’s medical emergency centers (regional medical emergency centers, specialized medical emergency centers, local medical emergency centers, central medical emergency centers, and local medical emergency facilities) and emergency centers 15km outside of Chungcheongbuk-do.
In order to analyze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according to the minimum transportation time of each sickness, some most important illnesses among medical emergencies were chosen. The minimum transportation time is as Table 3. The average minimum transportation time of medical emergency illnesses in Table 3 is 26 minutes.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cars, the speed limit of each road does not have any limitations regarding waiting at a red light or being blocked by other cars. Moreover, since it is an urgent emergency, it uses 80% of the speed limit to analyze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Figure 1 describes the network analysis results using speed limit of each road, medical emergency center, and minimum transportation time of each emergency illness in Table 3.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for five emergency illnesses are indicated with its determined ranks. As in Figure 2,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include Sangchon-myun Yeongdong-gun, Baegun-myeon Jecheon-si, and Deoksan-myeon Jecheon-si in order.
An analysis in comparing the population and size of Chungcheongbuk-do with the analysis results of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showed that Cheongcheon-myeon Goesan-gun had the most insufficient service compared to its relatively big population (Table 5). This shows that the current production of medical emergency services is not smooth. Medical emergency services are not appropriately provid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emergency service system, this paper analyzed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considering transportation time for each sickness, population, and size. It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Chungcheongbuk-do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considering the speed limit of each road type and the minimum transportation time of each illness, showed that Cheongcheon-myeon Goesan-gun had the most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
Secondly, the analysis results on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in comparison to the population and size using the minimum transportation time of each sicknes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t areas that provided medical emergency services for each sickness. Therefore, there must be a more accurate medical emergency information system.
Thirdly, the analysis results of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can be used in deciding future extensions of medical emergency facilities.
There is a need to conduct an overall analysis on areas with insufficient medical emergency services considering more diverse factors in the future.

.

이상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의뢰한 응급의료 취약지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