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여행 만족도조사 번역

 

농촌여행 만족도조사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농촌여행 만족도조사 번역

농촌여행 만족도조사 번역(한국어 원본)

본 연구는 관광정보 탐색의 이용수준과 농촌관광 요소가 방문 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13년 2월부터 3월까지 전국적으로 분포한 농촌 관광지역을 이미 경험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농촌관광의 잠재고객으로 볼 수 있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도시민들을 대상으로 중점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그 외 지방에 거주하는 일부 도시민들에 대한 조사도 포함되어 있다. 표본추출방법은 임의표본추출이며 304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신뢰성이 낮은 설문지를 제외한 222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4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문은 농촌관광의 일반적 여행소비행태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여행목적, 여행방법, 여행기간, 여행횟수 등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 부문은 정보원천의 이용수준이 농촌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기관 발행물, 대중매체, 상업적 정보 원천 등의 선호 수준을 설문하였다. 세 번째 부문은 지역의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요건 외에 방문 목적에 따른 만족도가 관광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 이미 다녀온 지역을 재방문하거나 타인에게 방문 지역을 추천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네 번째 부문은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관련된 문항이다.
정보원천 이용수준과 만족도 조사에 관한 설문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소비행태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은 명목척도로 구성하였으며 농촌체험프로그램의 참여목적에 대해서는 복수응답까지 선택 가능하도록 하였다.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으로 기술하였으며 여행목적은 복수 응답으로 설문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소비행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동반여행객 유형별로 여행 목적, 여행 방법 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Chi-square로 검증하였다. 농촌관광 만족도 조사는 측정변수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 적재치에 따라 변수들을 군집화 하였다. 군집화된 관광지 선택요인이 방문객의 전반적인 만족, 이미 방문한 지역의 재방문 의사,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각 요인에 대한 산술평균값을 가지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관광정보 원천의 이용수준과 관광 만족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관광 만족도 조사와 마찬가지로 변수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요인적재치로 회귀분석을 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14.0 버전의 프로그램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여행목적에 대한 선호를 조사한 결과 휴식을 위한 여행이 가장 많으며 문화체험, 레저, 생태탐방 순으로 나타났다. 동반여행객 유형에서는 가족단위의 여행이 현저히 높으며 친구나 연인 관계, 혼자, 직장이나 사업상의 동료와 함께 여행하는 순으로 나타났다. 대개 자가용을 이용한 개별 여행이 많으며 거주지에서 2-4시간 거리에 있는 여행지를 주로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기간은 1박 2일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여행경비가 30만원 미만인것과 관련된다. 여행횟수는 연 1회 혹은 연 2회로 응답한 사람이 많았으며 동일여행지에 대한 재방문은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많았으며 다음으로 1-2년 사이에 재방문한다고 응답하였다.
동반여행객 유형별 소비행태를 살펴보면, 여행목적의 경우 가족간의 여행과 친구나 연인간의 여행은 휴식, 문화, 레저, 생태탐방 순으로 여행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서 여행을 하거나 동료와 함께하는 여행은 문화체험을 목적으로 여행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행방법과 관련해서는 응답자 222명 중에 24명(10.8%)가 혼자서 여행을 하는데, 혼자서 개별여행을 한 응답자는 24명으로 개별여행을 하는 전체 173명 중 13.9%를 차지한다. 가족 단위 그리고 친구나 연인간의 개별여행을 하는 응답자는 각각 98명과 50명이었으며 가족간 단체여행에 대한 응답은 다른 동반여행객 유형에 비해 다소 높았다. 한편 직업상 동료 간의 그룹여행은 전체 44명 중 22.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과 관련해서는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는 응답자 68명 중에 혼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는 26.5% 이며 친구/연인의 대중교통 이용은 52.9%를 차지한다. 자가용을 이용한다는 응답자 138명 중 77.5%를 보인 가족의 자가용 여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가 아닌 다른 누군가와 동반하는 여행객들의 렌터카 이용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여행기간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당일 여행을 한다는 응답자는 32명이며 혼자서 혹은 친구/연인 관계가 당일로 여행하는 경우는 각각 25%를 차지하며 동료 간에는 당일 여행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여행은 주로 2박 3일(64.4%)이며 1박 2일과 3박 4일의 여행기간을 선택하는 것은 비슷한 수준(각각 55.9%, 56.3%)으로 나타났다. 친구나 연인 간의 여행은 1박 2일을 가장 많이 선호하나 다른 동반여행객 유형에 비해 여행기간이 긴 것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행경비 지출에 대해서는 친구나 연인은 30만원 미만의 경비를 지출한다는 항목에 응답자 102명 중 41명(40.2%)로 가장 높았다. 가족 여행에서는 30만원부터 60만원까지 지출한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100만원 이상의 지출도 다른 동반여행객 유형에 비해 높았다. 관광지역의 방문 후 재방문하는 경우를 살펴본 결과 친구나 연인은 재방문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가족이 그 뒤를 이었다. 재방문 의사에 대해서는 가족단위 여행은 1-2년 내에 친구나 연인 단위에서는 2년 후가 응답이 높았다. 한편, 동반여행객 유형별 여행횟수나 이동시간에 대해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동반여행객 유형별로 여행목적이 다르고 여행기간, 교통수단 선택에 있어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므로 동반여행객의 소비행태에 따라 관광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차별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여행목적의 대부분이 문화체험인 것을 감안해 볼 때 지역의 문화자원을 홍보하고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방문한 지역에 대한 재방문 의사가 없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것은 방문 지역에 대한 만족도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농촌여행 만족도조사 번역(영어 번역본)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he usage level of tourist information sources and the effects of rural tourism factors on the visitors’ satisfaction level after visiting.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to March of 2013 from the responses provided by the visitors of the rural areas in Korea. Survey answers were mostly provided by residents of the metropolitan area, potential visitors of the countryside, and also by urban residents in other regions. The sampling method is convenience random sampling. 304 people responded to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was conducted on 222 samples excluding those that were unreliable or insincerely answered.
The survey is composed of four sections. The first section attempts to comprehend the general travel consumption behavior of rural tourism, asking the purpose, method, period, and frequency of travel. The second section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usage level of information sources to the satisfaction level of rural tourism. It involves questions on preferences over government publications, multimedia, and commercial sources. The third section tries to comprehend the effects of travel purposes, other than the destinations’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on the general satisfaction level of the tour. Further, the section contains questions on whether the visitor would revisit the area or recommend the tour to other people. The last section contains questions related to demographic variables.
Survey questions on the usage level of information sources and satisfaction had the format of a five-point Likert scale. Consumption behavior and demographic questions were asked on a nominal scale. Questions on the visitors’ purpose of participating in a rural experience program allowed the selection of multiple choice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were described by frequency analysis. Since the travel purpose question allowed multiple responses, a multiple response analysis was conducted. Analysis on consumption behavior was conduct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Since the travel purpose and travel method can differ depending on the types of travel companions, this was verified using Chi-square.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measuring variables in the rural tourism satisfaction level survey, factorial analysis was conducted and variabl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each variable’s loading capacity. A path analysis using the arithmetic mean value of each ele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comprehend the effects of the categorized elements on the general satisfaction level and the willingness to revisit or recommend to others. Factori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ge level of tourist information sources and the tour satisfaction lev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wards using loading capacity. SPSS14.0 version and AMOS 7.0 program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for the trip purpose, relaxation received the most responses while culture experience, leisure, and ecological visits followed the list. In the travel companion section, family members topped the list while friends, significant other, alone, and coworkers followed. Most people chose to travel with their personal vehicles and chose destinations within a 2 to 4 hour distance. Trips lasted mostly for two days and the cost was usually less than ₩300,000. For most people, the frequency of travel was once or twice a year and they were most likely to not revisit. If they did revisit, most did so within 1 to 2 years of their last visit.
Consumption behaviors depending on the travel companion type showed that when traveling with family or friend, people traveled for relaxation the most. Culture, leisure, and ecological visit came next in the list. Visitors who traveled alone or with coworkers mostly traveled for culture experiences. Responses on travel methods showed that 24 out of 222 respondents (10.8%) traveled alone. This 24 people composed a 13.9% of the 173 respondents who planned an independent trip. 98 people traveled independently with family members, and 50 people with their friends or lover. In the case of group tours, there were relatively many family group tours compared to group tours with other travel companions. On the other hand, group tours with coworkers composed 22.7% of the whole 44 respondents who went on group tours. For transportation, Among the 68 people who responded that he/she used public transportation, 26.5% were traveling alone and 52.9% were traveling with a friend or significant other. 77.5% of the 138 respondents who used his/her personal vehicle were traveling with family members. There was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ravel companion types of travelers who used rent cars. Among the 32 respondents who went on a one-day trip, 25% traveled with a friend and another 25% with a significant other. None of the respondents went on a one-day trip with a coworker. Family trips usually lasted for three days (64.4%), with two days (55.9%) and four days (56.3%) following the list. Most people preferred a two-day trip with their friend or lover. In general, the trip period lasted longer when traveling with a friend or lover than when traveling with other travel companions. 40.2% of the 102 people who traveled with a friend or significant other responded that he/she used less than ₩300,000 for the trip. Family trips mostly spent ₩300,000 to ₩600,000. People were more likely to spend more than ₩1,000,000 on family trips than on trips with other travel companions. People were most unlikely to revisit when traveling with a friend or lover, and traveling with family members followed the list. If however, the respondents happened to revisit, family trips would do so with in 1 to 2 years while friends and lovers would do so after two years. On the other hand, the travel frequency and transportation time depending on the travel companion ty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alysis results imply that since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in travel purpose, period, and transportation choice depending on the travel companion type,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and differentiate tour programs for each travel companion typ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traveling is mostly culture experience, there must be new policies that can help advertise the culture resources of the area and invigorate the area’s economy. The unwillingness to revisit must be related to a low satisfaction level of the visit.

.

이상 농어촌연구원에서 의뢰한 농촌여행 만족도조사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