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축도시와 대기오염 번역

 

압축도시와 대기오염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압축도시와 대기오염 번역

압축도시와 대기오염 번역(한국어 원본)

대기오염(air pollution)도 도시화(urbanization)가 가져온 환경문제 중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압축도시 형태가 대기오염 감소에 기여하는지도 연구자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그렇지만 이에 대해서는 상반된 논리가 존재한다. 한편으로 압축도시가 교통에너지 소비(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를 줄일 수 있다는 논리의 연장에서 보면, 압축도시는 대기오염 감소에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압축적 도시개발은 오염물질 배출원(오염원)을 집중시켜 오히려 대기오염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이에 비해 본 연구는 그동안의 논의에서 비교적 간과되어 왔던 부분에 주목한다. 그것은 대류작용에 의한 오염물질의 분산(dispersion)과 희석(dilution)로서, 압축개발을 통해 주변부에 녹지를 많이 확보하면 분산과 희석 작용을 촉진하여 대기오염도를 낮출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오염물질 배출원의 집중 효과만 있다면 대기오염수준은 도심에서 가장 높고 도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할 것이다. 그러나 대류에 의한 분산 효과도 작용한다면 대기오염 수준이 반드시 도심에 가까울수록 높아지는 것이 아니고, 도시 전체적으로 유사한 수준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해 보겠다.
대부분의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즉 ‘기울기가 0이다’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므로, 대기오염 수준이 도심으로부터 거리에 따라 변하지 않고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대기오염 수준이 도심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또 다른 경우에는 기울기가 +값을 갖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대기오염 수준이 도심으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결과가 매우 inconsistent하기 때문에 최소한 오염원의 집중으로 인해 대기오염 수준이 도심에 가까울수록 높아진다라고 일반화(generalization)하기는 어렵다.
패널분석에 기초하는 이유는 도시의 대기오염 수준이 공간적 특성(대표적으로 해안/내륙 등 입지적 특성과 산지/평지 등 지형적 특성)과 시기적 특성(대표적으로 기후조건의 변화)에 의해 모두 영향을 받으므로 시·공간적 변화를 동시에 포착하기 위함이다. 대기오염도는 17개 도시별로 각 측정소의 관측치를 평균하여 사용하였는데 3장 분석에서 거리에 따라 대기오염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평균치를 사용해도 큰 문제가 없다.
독립변수 중 핵심변수(key variable)는 도시개발의 압축정도를 나타내는 변인이다. 압축 정도는 일반적으로 도시활동의 밀도를 기준으로 측정되는데, 중요한 것은 도시 전체로서의 평균적 밀도가 아닌 밀도 분포의 상대적 공간적 집중 정도이다. 이러한 개념은 도시활동의 밀도를 인구밀도로 근사하였을 때 다음의 수식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데, 도시의 총밀도(gross densit)y가 동일하더라도 기개발지(built-up area)내 순밀도(net density)가 높을수록 더욱 압축적으로 도시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압축 정도가 높아질수록 그 반대급부로서 기개발지를 제외한 도시내 녹지면적(green area)의 비중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압축 정도를 나타내는 요소로서 녹지 비중과 기개발지내 순인구밀도의 두 지표를 사용하도록 한다.이 외에 통제변수(control variable)로서 오염배출의 절대적 수준을 가늠하는 인구규모, 그리고 오염배출원 관련 도시 특성으로서 제조업 및 차량의존도를 추가하였다.

압축도시와 대기오염 번역(영어 번역본)

Air pollution is also one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This sparked researcher to question whether or not compact cities contribute to air pollution reduction. There are opposing arguments regarding this matter. Compact cities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air pollution, extending from the reasoning that they can reduce transportation energy consumption. However, they may actually aggravate air pollution because the development of compact cities concentrates sources of pollutants. In comparison, this research focused on an area that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discussions so far: dispersion and dilution of pollutants based on convection. This is because if a lot of green areas are established in the surroundings of a city through compact development, this will promote dispersion and dilution, which in turn, can lower air pollution level.
If there were only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 sources, air pollution level would be highest at the center of the city and decrease as it gets further. However if dispersion caused by convection is also applied, air pollution level will not necessarily get higher as it gets closer to the center, but rather it can be similar across the entire city. Therefore, we will confirm this empirically.
Because most of the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they cannot reject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slope is 0’, air pollution level did not change based on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ty and showed a constant pattern. So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onsequently, air pollution level decreased as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ty increased. However, in a different case, it was shown that when the slope had a positive value and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ir pollution level actually in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increased. Because the results were very inconsistent, it was hard to generalize that concentration of pollutant sources causes the air pollution level to be higher when closer to the center of the city.
The reason why this research was based on panel analysis was because air pollution level of the city is influenced by spatial characteristics(most typically, locational characteristics like coastal/inland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like mountain/plains) and periodic characteristics(most typically, change in climatic conditions) and therefore, spatial-temporal changes can be captured at the same time. The level of air pollution used was obtained by averaging observed measurements from each measuring station in 17 cities. There was no huge problem using the average value because the change in air pollution based on distance was not large, as explained in Chapter 3 Analysis.
The key variable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was the one that represents compression rate of city development. The compression rate was generally measured based on the density of city activity.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is is not the average density of the city as a whole but the relative spacial concentration rate of the density distribution. Such concept can be explained with the following equation when the city activity density approaches the population density. It can be seen that even if the city’s gross density is the same, city development is done in a more compressed manner if net density within built-up areas is higher. The more the compression rate increases, the ratio of green area within the city in parts that are not built-up areas increases. Consequently, green area ratio and net population density within built-up areas were used as factors that represent compression rate in this research. In addition, population size, with which the absolute level of pollution emission is estimated, was added as a control variable, and manufacturing and car dependency level were added as city characteristics related to pollution emission.

.

이상 한국환경정책학회에서 의뢰한 압축도시와 대기오염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