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권문제 번역

 

북한 인권문제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북한 인권문제 번역

북한 인권문제 번역(한국어 원본)

유엔은 1948년「세계인권선언」을 채택한 이래 국제법적 구속력을 갖고 있는 각종 인권규범을 정립시켜 나감과 동시에 1946년 인권위원회(2006년 인권이사회로 격상) 출범, 2007년 국제형사재판소 설치, 2008년 보편적 정례인권검토(UPR) 신설 등 제도적 절차도 완비해 나가는 등 인권레짐의 역할과 위상을 확대․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특히 인권문제에 있어 ‘인도적 개입’(1991년)과 ‘인간안보’(1994년)에 대한 논의를 거쳐 이제는 자국민 보호에 실패한 국가에 대한 국제사회의 ‘보호책임’(1999년)이 논의될 만큼 ‘인권의 보편성’에 대해 국제사회내 상당 수준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고 국가주권 보다 개인주권이 우선시 되는 상황에 진입했다. 물론 유엔의 역할과 관련 회원국들간 ‘주권 평등의 원칙’ 아래 국가이익을 최우선시 하면서 경쟁하는 장소라는 국제정치 현실상의 한계와 의무이행에 대한 강제력 부재 및 실효성 있는 제재수단 미확보 등 기능적 제약에 대한 지적이 상존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북한인권 개선은 북한주민들로 하여금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자각토록 하여 북한체제의 민주화를 촉진하고 이를 통해 한반도내 평화 구축은 물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질서에 기초한 평화통일을 달성하는 데 있어 핵심적 해결과제이다. 1990년대 중반 발생한 극심한 식량난으로 탈북자들이 증가하고 이들을 통해 북한인권 실태가 알려지면서 유엔 등 국제사회는 同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 노력을 지속해 왔다. 유엔은 2003년 인권위원회(Commission on Human Rights)에서 첫 북한인권결의문을 채택한 이래 총회․인권이사회(Human Rights Council) 등을 통해 북한인권 결의문을 총 17회 채택했고 2009년에는 북한에 대한 보편적 정례인권검토도 실시했다.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매년 북한인권 보고서 작성 등을 통해 개별국가‧국제인권기구‧NGO간 의사소통 및 정보교류를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나아가 2013년 3월 제22차 유엔 인권이사회에서「북한인권 조사위원회」(COI) 설치를 결정, 同 위원회 조사결과를 근거로 안보리가 김정은 등 인권유린자들을 국제형사재판소(ICC)에 기소하도록 권고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함으로서 안보리가 북한인권 문제에 개입할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요약하면 유엔인권레짐은 규범의 실천 및 이행을 강제하기 보다는 도덕적․정치적 압박에 의존하고 있고 강대국들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는 등 對北 영향력이 실질적으로 크지 않다는 부정적 평가도 받고 있다. 하지만 북한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 촉구 및 연대를 강화하면서 각종 규범과 절차․제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同 문제 해결의 구심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정권은 유엔 총회나 인권이사회의 인권결의문 채택이나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의 임무수행에 대해서는 무시․거부하는 태도를 견지하면서도 국제적 고립․對北지원 중단 등을 우려하여 이행에 대한 부담이 비교적 적은 규약위원회의 활동에는 선별적으로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세습독재․선군통치로 특징지워지는 북한의 정치체제 및 인권문제를 체제안보와 직결시키는 북한식 인권관 등을 고려할 때 북한정권이 스스로 획기적인 인권개선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장기 세습독재와 철권통치로 미얀마와 南亞共의 민주화 사례와 달리 북한에는 아웅산 수치·만델라·투투 주교와 같은 상징적 인물 뿐 아니라 反정부 투쟁을 주도할 야당도, 조직화된 반대세력도 존재하지 않는다. 더욱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일깨워 줄 수 있는 신앙생활도 허용되지 않고 있으며 북한 주민들이 의회민주주의와 法治, 발전된 시장경제 등을 경험할 기회를 갖지 못한 결과 시민사회가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개별국가의 북한인권 문제 거론에 강한 거부감을 보이고 있는 북한의 태도 등을 감안시 북한주민들의 인권개선을 위해서는 미얀마·南亞共 사례와 같이 유엔을 중심으로 개별국가‧국제기구‧NGO 등이 협력하여 끊임없이 인권개선을 권고하고 의무 불이행 및 규범 위반에 대한 제재 방안을 지속 모색해야 한다. 이와 함께 북한과 보건․환경 등 ‘인간안보’ 차원의 협력을 추구해 나감으로써 북한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외부세계와의 접촉면을 확대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북한내 시민사회 형성을 촉진하고 민주화를 실현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또한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러의 협조를 유도하고 북핵과 북한인권 문제의 연계를 통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假稱「동북아 다자안보협력기구」의 설립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북한 인권문제 번역(영어 번역본)

Since 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in 1948, the United Nations (the UN) has strived to expand and strengthen the role and status of the Human Rights Regime. It has established various human rights standards that have legal bindings to the international law, and provided institutional procedures such as commencement of the Commission on Human Rights in 1946 (promoted to the Human Rights Council in 2006), establishment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n 2007, and introduction of the Universal Periodic Review (UPR) of human rights in 2008. Consensus regarding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has been established with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evidenced by discussion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1991), human security (1994), and responsibility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to protect citizens of nations that have failed to protect its own people (1999). Nowadays, individual sovereignty takes priority over national sovereignty. At the same time, critics have pointed out that limitations in international politics have rendered the UN as a place where its member nations compete for their respective interests despite the role of the UN and the principle of the sovereign equality. Absence of legal force to enforce the duties and the lack of means to sanction are also among functional limitations of the UN.
Improving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s a core agenda for North Korean people to realize dignity as human beings, thereby stimulating democratization of North Korea, establish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ultimately accomplishing peaceful unification based on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With increase in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mid 1990s due to severe food crisis, the UN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became aware of the condition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endeavored to improve the condition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Since adopting the first resolution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n the Commission on Human Rights in 2003, the UN has adopted the resolution 17 times through the General Assembly and the Human Rights Council. In addition, it has conducted UPR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n 2009.
The UN Special Rapporteur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creates annual reports and oversees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among nations, international human rights organizations, and NGOs.
Furthermore, the 22nd UN Human Rights Council has determined the installation of a commission of inquiry (COI) into North Korean human rights. This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the council to recommend prosecution of human rights violators such as Kim Jong-un to the ICC, thereby enabling the council to intervene in the problem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In summary, the UN Human Rights Regime currently relies on ethical and political pressure rather than enforcing the standards, and superpower nations have significant control on the policy. As a result, its influence on North Korea is limited. However, it is raising awarenes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to continue developing standards, procedures, and systems. The regime is therefore expected to play a central role in solving the problem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The North Korean government continues to ignore or reject adoption of the human rights resolution of the UN General Assembly and activities of the Special Rapporteur. It selectively cooperates with the less burdensome Human Rights Committee due to its fear of economic estrangement and cessation of international support. However, considering the political system characterized by hereditary dictatorship and military-first rule and the tendency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o link the human rights problem with the security of the government, it is highly unlikely tha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will autonomously develop a policy for radically improving human rights in North Korea. Unlike democratization in Myanmar and South Africa, North Korea has undergone long-term dictatorship and iron-fist rule and is devoid of symbolic figures such as Aung San Suu Kyi, Nelson Mandela, and Desmond Tutu, anti-government party, and organized opposition.
Moreover, North Korean people are forbidden from religious activity that may help them realize their dignity as human beings. Civil society could not be established as they have not had the chance to experience parliamentary democracy, rule of law, and developed market economy.
Considering the strong resistance of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he UN as well as its member nation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GOs should cooperate to continuously recommend improvement of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seek means to penalize non-fulfillment of duties and violation of standards, as was the case in Myanmar and South Africa. At the same time, the UN should cooperate with North Korea on the level of human security in medicine, environment, etc.,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North Korean people and induce the government to increase its contact with rest of the world as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Such efforts will accelerate formation of civil society and democratization of North Korea. There is also a need to establish so-called “Northeast Asian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order to induce cooperation of China and Russia, who are permanent members of the security council, and to arrive at the solution to the nuclear problem and the human rights problem by associating them together.

.

이상 이화여대에서 의뢰한 북한 인권문제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