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비평 번역

 

미술 비평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미술 비평 번역

미술 비평 번역(한국어 원본)

임동식의 작품을 아주 가까이에서 만났던 때는 2009년 대전시립미술관에서 기획했던 전시에 그의 작품을 초대했던 전후의 시기였다. 그 이전에 개인전을 보았던 인상과, 그가 조직했던 야외미술 프로젝트들에 대한 소문과 자료들, 그의 과거 작품들과 글이 수록되어 있는 카탈로그를 통해 서서히 알아 가던 그의 작품의 전모를 보고 싶다는 마음이 가득했을 때였다. 전시를 시작하기 몇 달 전부터 공주에 있는 그의 작업실(거주지가 곧 작업실)에 시간이 허락할 때마다 들러서, 오래 전의 작품들부터 모두 보여 달라 청하곤 했다. 집안 여기저기에 쌓아둔 드로잉들 한 장까지 모두 보고 싶었고, 대낮부터 시작해 밤 열두시를 족히 넘긴 일이 수차례, 결론부터 말하자면 작품을 다 보지는 못했다. 전시 일자는 코앞으로 다가오고 끝도 없이 나오는 작은 드로잉들을 하나 하나 넘겨 보는데는 시간의 제약이 있었다. 출품작들을 결정하고 액자를 할 것들은 제작에 들어가야 했기 때문에, 작품을 모두 보겠다는 생각을 접고, 아쉽지만 털고 일어나야 했던 순간이 기억난다.
그는 당시 새로운 작품을 시작하는 와중이었다. 자연 속에서 퍼포먼스를 했던 장면을 되새기며 그렸던 작품이나, 가까운 이들과 자신의 일생을 독특한 서사적 프레임으로 그려내는 유형의 작품들이 한 쪽에 있고, 동네 친구가 그려보라 권유하여 그리기 시작한 작품들이 도대체 언제 마무리가 될 것인지 비가 내렸다 꽃이 피었다 눈이 내렸다 하는 와중에, <비단장사 왕서방>이라는 한국근현대사와 동서문명을 가로지르는 장대하고 교훈적이면서도 유머러스한 작품 연작이 다른 한 편으로 전개되고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젊은 시절 각고의 노력으로 성공한 왕서방과 그의 자손 이야기를 통해, 비단으로 상징되는 전통 문화가 성급히 새 것으로 교체되는 부박한 현재의 시절에 대한 성찰을 이끌어내는, 임동식이 만들어낸 이야기이다. 작은 비단가게로부터 대매장에 이르기까지, 비단을 정리하는 이들이 창밖으로 내리는 비를 바라보며 앉아서 고요히 쉬는 장면, 철없는 자손의 행각에 실망한 왕서방의 깊은 실망의 장면에 이르기까지, 이야기는 유장한 흐름을 가지고 있었다. 사면의 방을 빼곡히 둘러싸고 작업실의 벽면에 기대어진 층층의 캔버스들 사이에, 큰 줄기의 이야기들 사이에 더 세부적으로 전개될 이야기들이 향후의 계획으로 남겨져 있었다.
그림을 통해 한 편의 소설을 읽는 듯한 이러한 서사적 전개는 임동식의 작품 전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도래하는 방식일 뿐 아니라, 어디서도 흔히 찾아볼 수 없는 독보적인 특성이다. 그의 소년 시절 작품집인 <불제자 소년>과 존경했던 고등학교 선생님의 일대기를 그린 미완성 작품에서부터 이미 드러났던 이러한 독특한 이야기 전개 방식은, 사실 그의 최근 풍경화와 인물화에서도 어김없이 드러나는 일종의 ‘기질’이다. 한 장소의 특정 순간이 아닌 사계절을 그린 작품이나, 현재의 풍경 속에서 과거의 기억 속 풍경을 더듬어 재현하는 작품들, 인물들의 일대기를 한 화면에 담아내는 방식의 작품들 역시, 단지 풍경화, 단지 인물화가 아닌 서사성과 결합된 풍경화, 인물화인 것이다. 그래서 그의 작품들 가운데는 연작들이 많다. 커다란 나무를 여덟 방향에서부터 돌아가며 관찰해 그린 작품이나(<친구가 권유한 방흥리 할아버지 고목나무-여덟 방향>), 사계절 연작의 작품들(<자연예술가와 화가> 등)이 그러한 유형의 작품들이다.
임동식의 이야기는 끊임없이 생성된다. 이야기에 이야기가 덧씌워져 본 서사의 지류로 흘러가 버리기도 하고, 잠시 접어두었던 이야기들이 되살아나기도 한다. 비단장사 왕서방의 이야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고, 끝나지 않아도 좋을 것이다. 괴테가 60년에 걸쳐 초고와 단편과 중편들을 이어가며 파우스트를 완성했듯이, 앞으로 더 전개될 그 사이의 서사들이 모여 결과를 알 수 없는 더 큰 이야기로 통합될지도 모르겠다.
이번 전시에 출품되는 작품들은 이전에 보여주었던 큰 줄기의 흐름에서 잠시 한 걸음 쉬어가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대체로 크기가 작고 거대서사가 읽혀지지도 않는다. 이전의 풍경화들과 비슷한 공주 인근의 풍경들로 보이지만, 전작들과는 확연히 다르게 보이는 점들이 있다. 커다란 나무 아래, 나무가 듬성한 언덕 마루에, 멀리 보이는 밭 근처에, 넝쿨이 어지럽게 엉킨 나무 위에, 사람들이 있다. 사람들은 오글오글 평상에 모여 잡담을 나누고 개울에서 물고기를 잡거나(<마을 밖 버드나무 아래 행복한 사람들>), 이젤들을 펼쳐놓고 풍경을 그리고, 지나가다가 뒷짐 지고 이들의 그림을 구경하거나(<마을 정주나무 밑에서 그리기>), 개를 데리고 언덕을 오르거나(<친구 정군이 권유한 바람쐬는 날 1, 2>, 색색의 우산을 쓰고 걸어가거나(<원골에 온 손님들 1, 2>), 허리를 숙여 밭일을 하거나(<들깨밭 보이는 풍경>), 마른 나무 넝쿨을 거둔다(<마른 넝쿨을 거두어내는 아이들>).
이 작품들이 이전의 풍경화들과 달라 보이는 이유는, 자연을 대하는 마음의 결기가 어느 정도 누그러졌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임동식에게 있어서 자연은 현대 문명과 대비를 이루는 상징적 존재였고, 늘 그 속에서 작업을 했지만 가까이 다가서야 할 그 무엇이었다. 초기의 야외 설치작품과 자연을 엇비슷하게 흉내내거나 극적으로 수용하는 퍼포먼스 작품들, 고개 숙인 수선화밭을 지나면서 꽃들과 마주 인사를 하는 순간을 그린 작품, 풀잎에 수염을 매어 자연물과 작가가 직접 대면했던 퍼포먼스와 그것을 기록한 작품, 거북이 박제를 등에 이고 거북이처럼 느리게 기어보는 퍼포먼스와 그 순간을 회상하여 다시 그린 작품 등은, 임동식의 거의 범신론적 자연관을 드러내 주었던 전작들이다. <친구가 권유한 풍경> 시리즈 역시, 작가 자신보다 훨씬 더 자연을 가까이 접한 이의 권유가 그림의 직접적인 계기를 이루는 것이었다. 작가 자신의 눈이 아닌 자연에 더 가까운 친구의 눈으로 보이는 풍경을 그리는 방식은, 자연에 접근하는 작가의 극도로 겸손한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인간인 작가 자신은 자연의 흐름을 깊이 느끼고 받아들이는 수용의 방식으로 풍경을 바라보았기 때문에, 그림 속에 등장하는 풀 한 포기조차 자세한 관찰을 통해 생명력을 표현하고자 했다. 유화 안료에 기름을 섞지 않고 세필을 사용해 마치 화면 전체가 작은 입자들로 이루어진 듯 보이게 하는 것도, 숨을 쉴 수 있는 실제 자연의 공기층을 묘사하기 위해 선택한 기법이었다. 집을 나갔던 탕자가 돌아와 깊은 반성을 하듯이 자연으로 돌아와 고개를 조아린 문명인 임동식은 이렇게 다각적인 방식으로 자연을 내면화하고자 했다. 그런데 이번 전시의 출품작들 가운데 몇몇 작품들에서 자연을 대하는 기존의 엄정한 태도가 다소 완화된 듯이 보인다는 것이다.
작품 속에서 자연과 사람은 서로 기대고 있다. 인물들이 등장했다고 해서 풍경이 인물의 배경이 되는 것이 아니고, 풍경 속에서 무슨 일들인가를 하고 있는 사람들은 풍경과 크게 구별되지 않는다. 자연과 사람은 동시에 그림의 주인공이다. 풍경 속에 있는 작은 인물들은 언뜻 보기에 독일 낭만주의 풍경화를 연상케 하지만, 휘몰아치는 거대한 자연 속에서 보잘 것 없는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경외심과 숭고의 감정을 말하는 그러한 작품들과는 의미의 반대편에 서 있는 것이다. 이제 임동식은 자연의 한 부분으로서의 인간, 인간의 한 부분으로서의 자연 풍경을 통해, 자연의 이야기 속에 인간이 있고, 인간의 이야기 속에 자연이 있는, 서로 대비될 것도 두려워할 것도 삼갈 것도 없는 인물-풍경화를 보여주고 있다.
임동식의 작품은 인간의 밑바닥에 있는 욕망과 현실적 번뇌를 모아, 자연 속에 마음의 뿌리를 심고 그것을 부드럽게 쓰다듬어, 급기야 ‘행복’을 이야기하고 있다. 귀농을 꿈꾸는 자는 거친 들을 무겁게 바라보며 고뇌하지만(<귀농전년>), 다음해 씨를 뿌려 싹으로 뒤덮인 들을 응시하는 자의 어깨는 희망으로 한결 가볍다(<귀농당년>). 자연 속에서 행복한 사람들이라니, 그것이 동시대 미술의 주제가 될 수 있다니, 작품을 통해 행복을 꿈꿀 수 있다니, 그것이야말로 임동식의 작품이 보는 이들에게 주는 최대한의 행복인 것만 같다. 그의 작품은 마음을 움직이고, 작품 안에서 보이는 순한 자연 속 순한 삶을 꿈꾸게 한다. 다음 순간, 그는 다시 화려 찬란한 비단의 이야기를 다시 시작하거나, 의식의 가파른 끝을 지향하는 매서운 작품들을 시작할지도 모르겠다. 하나의 작품이 마무리되기 전에 다음 것, 다음 다음의 것들로 걸음을 재촉하는 그의 작업 패턴으로 보자면, 지금의 작품들과는 전혀 다른 어떤 작품들이 이미 시작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관객은 바로 지금, 그의 작품이 주는 편안함, 즐거움, 행복을 미루지 말고 누릴 일이다.

미술 비평 번역(영어 번역본)

I came in closest contact to Im Dong Shik’s work in 2009 at an exhibition held by the Daejeon Museum of Art at the time when his work was invited to go on display. Prior to that, through an impression of his individual exhibit, through rumor of and data on the outdoor art projects he organized, and through cataglogues containing his past works my heart became filled with a desire to gain an indepth look. Several months prior to the exhibition, I went to Gongju to visit his studio (his residence is his studio) whenver time allowed, and requested to see all his works including those from long ago. I wanted to see each of the drawings that were piled about, and so I started in the day and spent good time going through them until 12 o’clock at night, but in a nutshell I was unable to view all of them. The exhibition date was fast approaching and there was no end in sight so I tried saving time by taking the small drawings and flipping through them. I gave up on the determination to review each of the works because we had to decide on the works that would go on display and those that would be framed, and though it was a pity to do so, I remember clearly the moment when I brushed myself off and got up.
He was in the middle of a new work. Reviewing the scene of the performance within nature, the drawn works, the work forms that were drawn using frames of his lifetime and of those close to him were set to one side, and on another side there was a work that a neighborhood friend suggested him to paint and it was one that looked like it would take forever to finish, the seasons rolled by and a work of art came into view titled <silk merchant Mr. Wang>, which was a cross between Korean modern history, and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 it was strapping and instructive, yet humorous. It is a story created by Im Dong Shik that elicits self-introspection into the shallow modern times that hastily replace traditional culture represented by the silk and through Mr. Wang’s success by working hard in his youth and the story he tells his descendents. Going from a small silk shop to a large store, the scene is of the subject that dealt in silk calmly resting by the window watching the rain fall, while the painting expresses a lengthy flow including a scene of utter disappointment that Mr. Wang feels because of the immature behavior of his descendents. All four walls of the studio are cluttered and stories that are planned to unfold in detail in the future are found among the layers upon layers of canvasses leaning against the wall of the studio.
Through the pictures, as if reading a novel nearly half of the descriptive unveiling lies in part of Im Dong Shik’s works so instead of following a system of periodically showing something, they have the unique feature of the meaning not being as easily found as in other works. Even from a work of art from his youth titled <Buddhist Boy>, an unfinished work about the biography of a teacher he much respected, the unique method of unveiling is actually the ‘character’ that can clearly be seen even in his recent works of landscape paintings, and portraits. There are works that paint the four seasons rather than the characteristics of one place, works that seek to recreate a landscape from memories in the past using present day landscapes, and the method of a biography a subject included on one canvas is more than just a landscape painting, and more than just a portrait, but is an amalgamation of both a landscape and portrait painting. So there are many recurring things among the works. His types of works include those that are drawn by observing a large tree from 8 angles (<Bangheung-ri grandfather oak tree my friend wanted me to paint-from eight angles>), and works of the recurring seasons(<natural artists and painters>).
Im Dong Shik’s stories are created without an ending. Stories are superimposed upon stories and his descriptive tributaries flow out, and stories that have stopped halfway pick up later. The story of the Silk Merchant Mr. Wang is not yet over, and it would be better if it was left unfinished. Just as Faust perfected Goethe’s method of going from draft, to short story to novel just 60 years later, descriptions that will emerge from the cracks when put together may integrate into an even fuller story.
It felt like the works displayed during this exhibition are momentarily resting from the great streaks that were previously shown. It is generally small in size and the major narrative is not widely read. Previous landscape paintings looked like places nearby Gongju, but there was something completely different with the previous works. There were people below a large tree, on the ground on a hill sparsely covered with trees, and people atop a tree twisted with ivy. There are a crowd of people gathered chatting together fishing in a brook(<happy people beneath the bud tree outside the village>), a propped up easel and painting of the landscape and passersby with their hands clasped behind their back stop to view the picture (<drawing beneath a tree in a village>), someone climbing a hill with a dog(<getting some air at the request of Jeongguni, man’s best friend 1, 2>), someone walking with a multicolor umbrella (<customers from Wongol 1, 2>), someone stooping over while working the field (<landscape of the sesame patch>), and people harvesting dry tree vines (<those who harvest the dry vines>).
The reason these works differ from previous landscape paintings is because of the level of haste to express one’s heart towards nature. Thanks to Im Dong Shik nature exists as a comparison to modern civilization, and though he always worked in that respect there was something I noticed when I took a closer look. Initially the works set up outdoors closely resembled nature and the performance works that were dramatically accommodated, a work that showed flowers bowing to each other while one passes a field of daffodils, a works that recorded the performance of an object from nature that faced the artist directly with a leaf with a beard, the a performance of walking slowly like a turtle with a stuffed turtle on his back, and at that moment the works that he painted showed that Im Dong Shik had a pantheistic view of nature that could be seen in his prior works. No doubt the <landscape recommended by a friend> series had in the painting a direct influence on the recommendation to him to come contact something much closer to nature then the artist himself. The method of drawing not through his own eyes, but through the eyes of his friend is a display of the artist’s extremely humble attitude the artist takes when approaching nature. Because the artist himself viewed the landscape with a mode of acceptance that is deeply sensitive to the flow of nature even single blades of grass were expressed as having life through the precision observation. Without mixing oil with the paint he used a fine brush making it look as if the entire screen was created using small particles, and it was a technique that was selected to depict the actual layers of air in nature. Just as with the deep reflection made by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Im Dong Shik is a civilized man that bows his head toward nature and this way internalizes nature using many approaches. But, out of the works that were at the exhibition, several works strayed somewhat from the rigid attitude when facing nature.
In the works, both nature and people look forward to something. The background is not overshadowed just because a person appears in the painting; there is no great distinction between people that are engaged in some activity amidst the landscape and the landscape itself. Both nature and people become the subject of the painting at the same time. At first glance, minor characters among the landscape are reminiscent of a German romantic landscape painting, but such works have an opposite meaning of the emotions of respect and loftiness that in comparison insignificant humans have for a nature that is wild and vast. Now Im Dong Shik is showing us portraits, and landscape paintings through natural landscapes where people are a part of nature, and nature is a part of people, where people are found among stories of nature, and nature is found among stories of people without comparing with, fearing or restraining the other.
The works of Im Dong Shik gather the base desires of people and the a reality of anguish, and puts down roots of the heart of nature, and gently caresses it and at last tell the story of ‘happiness.’ The person who dreams of returning to rural life fears things will be tough (<the year before returning to rural life>), but the next year that person’s burden is lightened through the hope attained when looking at the buds that now cover the ground where there were once seeds. They are people who are happy within nature, and to think how that can become the theme for contemporary art, that one can dream of happiness through a work, such is the greatest happiness that Im Dong Shik wants to give us by showing us these works. His works move people, and make them dream of a pure life amidst pristine nature. Next we do not know whether he will start either a new story of colorful and radiant silk or a fierce some work that takes one down the steep ledge of consciousness. Upon looking at his work pattern of starting another work and yet another before completing the first one, it is unknown whether he will start work on a completely different work of art from that of today. But, viewers should not waste any time in enjoying the comfort, pleasure and happiness that his works of art bring.

.

이상 이화익 갤러리에서 의뢰한 미술 비평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