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법 도입 번역

 

극지법 도입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영어번역)

 

극지법 도입 번역

극지법 도입 번역(영어 원본)

1. Introduction to Polar Law
Natalia Loukacheva
1.1 What is Polar law?
There may be multiple approaches to the understanding of this term. For the purposes of this textbook, however, the definition of “polar law” is limited to general international law regulations that are applicable to both the Arctic and the Antarctic (e.g.,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The definition used here also covers international law treaties or conventions that deal with issues specific to the Polar Regions (e.g., for the Arctic – Agreement on the Conservation of Polar Bears; for the Antarctic –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Seals, the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etc.). At the same time, “polar law” also refers to the domestic law of the eight Arctic States (Canada, Denmark, Finland, Iceland, Norway, Sweden, the Russian Federation, and the U.S.A.)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ifferent branches of law that address various Arctic-related matters (e.g., Canada’s Arctic Waters Pollution Prevention Act). It is also inclusive of the laws of sub-national Arctic jurisdictions (e.g., Nunavut Wildlife Act, etc.). Plus, as far as the South Pole is concerned, some regulations resultant from the Antarctic Treaty Consultative Meetings (ATCMs) need to be incorporated in the national legal systems of each of the Consultative parties (and some non-consultative parties do so). Thus, broadly speaking, “polar law” is a developing field of law that deals with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gal regimes that are applicable to the Arctic or the Antarctic, or both.
At the same time, aside from the hard law regulations relevant to Polar Regions, one should not discard the benefits of “soft-law” instruments, especially in the Arctic where at the time of writing there is no general international legally-binding Arctic Treaty in place.1 Unlike the Antarctic Treaty of 1959, which has been in force since 1961, the possibilities of an Arctic treaty are subject to ongoing academic legal discourse and policy developments. On the one hand, the existing web of soft-law – non legally-binding instruments in the Arctic – (e.g., declarations, resolutions, memorandums of understanding, cooperation accords, etc.) that are mainly issued or concluded by various Arctic forums (e.g., the Arctic Council, the University of the Arctic, etc.) or can be signed by other Arctic actors (e.g., indigenous groups, or Northern governments, or industry representatives, etc.), often prove to be efficient in dealing with various Arctic-related matters. On the other hand, despite the numerous pros and cons attached to having an international Arctic Charter or Treaty,2 the debate over the need for legally binding agreements in the region versus the benefits of soft-law, points to the complexity of this issue. Therefore, any attempt to understand the scope and applicability of “polar law” needs to consider both the hard and soft law approaches.
Despite some obvious similarities between the both Poles, in reality, they each function under divergent legal regulations which can, in part, be explained by their differences. One noticeable distinction is that the Arctic has been inhabited with many Indigenous peoples and other Northerners, whereas the Antarctic has neither permanent residency nor an Indigenous population (although numerous scientists and their families live and work there, and young children even go to school there for short periods of time). For this reason then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 the Antarctic is possible but not to the same degree as in the Arctic (e.g., one can argue that the Antarctic is a “common heritage of mankind” example). Furthermore, in the Arctic, the domestic law of the Arctic States with clearly recognised territorial sovereignty (one exception is an ongoing disagreement between Denmark and Canada over Hans Island)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how various issues are dealt with. In the Antarctic, territorial sovereignty claims are “frozen” (Article IV of the Antarctic Treaty). In other words, “polar law” refers to different areas of international law concerning the Arctic and the Antarctic and domestic law but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certain legal principles or branches of law may be different in each Polar region. Thus, a detailed analysis within a specific area of law may be needed to understand certain particularities of the legal regime as it applies to Arctic – and Antarctic-related issues.

At the same time, similarities between the Poles in relation to a range of emerging issues,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 indicate that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or international law of sea regulations have special significance for both the Arctic and the Antarctic.
For example, the growing number of climate change tourists and other adventurers in both areas has serious ramification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preservation of wilderness areas. In addition, growth in the volume of shipping given the increased level of navigable accessibility due to melting ice also poses new challenges in respect of pollution, has a negative impact on wildlife (e.g., noise) and biodiversity more generally in both Polar areas.

극지법 도입 번역(한국어 번역본)

1. 극지법의 도입
Natalia Laukacheva
1. 1 극지법이란 무엇인가?
극지법이라는 단어를 이해하는 데에는 다양한 접근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서에서는 ‘극지법’의 정의가 북극과 남극 모두에 적용 할 수 있는 일반적인 국제법 규제로 제한된다 (예. UN 해양법협약 [UNCLOS]). 여기에서 사용하는 정의는 극지의 특징적인 문제를 다루는 국제법 조약 또는 협약까지 포괄한다 (예. 북극의 경우에는 북극곰 보존조약 [Agreement on the Conservation of Polar Bears], 남극의 경우 남극 바다표범 보존협약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Seals], 남극 해양생물자원 보존협약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극지법’은 또한 다양한 북극 관련 문제를 다루는 상이한 종류의 법을 (예. 캐나다의 북극 바다 공해 방지법 [Arctic Waters Pollution Prevention Act]) 중심으로 하는 8개 북극국가의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러시아 연방, 미국) 국내법을 의미하기도 하며, 하부 국가적 북극 관할구역의 법 (예. 누나부트 야생동물법 [Nunavut Wildlife Act])도 포함한다. 또한 남극의 경우에는 남극조약 협의국회의 (ATCM: Antarctic Treaty Consultative Meetings)가 각 협의국 (그리고 일부 비협의국)의 국가 법체계에 통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넓게 보면 국제법은 북극 또는 남극, 혹은 북극과 남극 모두에 적용 가능한 국제/국내법 체제를 다루는 발전 중인 법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극지 지역과 관련한 경성법 규제와 별개로, 현재 국제적으로 법적 구속력을 지니는 북극 조약이 존재하지 않는 북극에서는 ‘연성법’ 제도의 이점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1061년에 발효된 1959년 남극 조약 (Antarctic Treaty)과 달리 북극 조약은 그 체결 가능성에 대한 법적 담론과 정책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기존 연성법은 다양한 북극 포럼 (북극평의회 [Arctic Council], 북극대학교 [University of the Arctic] 등)을 통해 체결 또는 발표되거나, 기타 북극 주체들이 (예. 원주민 조직 또는 북방국가의 정부, 또는 업계 대표 등) 서명할 수 있는 법적 구속력이 없는 제도 (예. 선언, 결의안, 양해각서, 협력조약 등)가 다양한 북극 관련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국제적 북극 헌장 또는 조약 을 체결하는 데 대한 수많은 찬부 양론에도 불구하고 구속력을 지니는 협약과 연성법의 이점에 대한 논의가 이 문제의 북잡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극지법’의 범위와 적용 가능성을 이해하려 할 때에는 경성법과 연성법의 접근법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남극과 북극의 뚜렷한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남극과 북극은 그 중 일부를 차이점으로 설명할 수 있는 다변화된 법적 규제 하에 존재한다. 한가지 주목할만한 차이점은 북극에는 많은 원주민과 북부인들이 거주하고 있는 반면 남극에는 영구히 거주하고 있는 인구나 원주민이 없다는 것이다 (수많은 과학자들과 그 가족들이 남극에서 생활하며 일하고 있고 아이들은 단기간 동안 학교에 다니기도 하긴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남극에서도 국제 인권법을 적용할 수는 있으나, 북극에서와 같은 정도로 인권법을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 남극이 ‘인류의 공동자산’이라는 주장이 있을 수 있다). 게다가 북극에서는 확실하게 인정된 영토 주권을 보유한 북극 국가의 국내법이 여러 가지 문제가 다루어지는 방식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한 가지 예외는 덴마크와 캐나다가 한스섬에 대해 벌이고 있는 해결되지 않은 논쟁이다). 남극에서는 영토 주권에 대한 주장이 ‘동결’되어 있다 (남극 조약 제4조). 다시 말해, ‘극지법’은 북극, 남극, 국내법과 관련한 국제법의 상이한 분야를 의미하지만, 특정한 법의 원칙 또는 유형의 적용 정도는 각 극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북극 및 남극 관련 문제에 법을 적용할 때의 구체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정 법 분야 안에서의 상세한 분석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떠오르고 있는 다양한 문제와 관련한 북극과 남극 사이의 공통점, 특히 기후 및 환경 변화와 관련한 공통점은 해양 규제의 국제법 또는 국제 환경법이 북극과 남극 모두에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예컨대 북극과 남극을 찾는 기후변화 방문객과 기타 모험가들의 숫자가 증가하는 것은 환경보호와 황무지 지역의 보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얼음이 융해하면서 가항 접근성의 증가했음을 고려하면 해상 운송량의 증가도 공해의 관점에서 새로운 문제를 초래하고 북극과 남극 모두에서 야생동물과 (예. 소음) 생물 다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이상 극지연구소에서 의뢰한 극지법 도입 번역(영어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