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법 발전 번역

 

극지법 발전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영어번역)

 

극지법 발전 번역

극지법 발전 번역(영어 원본)

1. Polar Law Developments and Major Trends
1.1 Polar Law
The growing importance of both Polar Regions in various areas of global, regional, national and sub-national development necessitates that further inquiry be made into the role of law in addressing the many current and emerging issues relevant to the Arctic and Antarctica. In light of the fundamental changes taking place in these areas, law is not a panacea for all questions, but it has its own important role to play in dealing with many of them.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generalisations on this issue are not feasible as each legal challenge may require a specific solution and a detailed analysis of the case in question.
Current Polar law developments also indicate that both Polar Regions will continue to be the focus of growing political, international, scientific, media and public discourse for the foreseeable future. Polar law is an evolving area of study which is in the process of gaining increased recognition and significance at the academic level and in international fora. Although various approaches exist to the understanding of Polar law, “broadly speaking, “polar law” is a developing field of law that deals with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gal regimes that are applicable to the Arctic or the Antarctic, or both” (Loukacheva in Polar Law Textbook 2010:13). For example, it covers international law treaties that address specific issues related to each Polar Region (i.e., the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the Agreement on the Conservation of Polar Bears (the Arctic)); international treaties that apply to both Polar Regions (i.e.,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Polar law also covers the domestic law of the Arctic States and other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rctic, or certain regulations resultant from the Antarctic Treaty Consultative Meetings incorporated into the national legal systems of respective Consultative parties and, in some cases, non-consultative parties. The sub-national legislation of Arctic jurisdictions and the Aboriginal (customary law) of Arctic indigenous peoples should, in addition, also be considered here as they form an important part of the Polar law framework.
Conceptually, Polar law includes both “hard law” – legally binding (e.g.,the Antarctic Treaty of 1959, etc.,) and “soft-law” – non-legally binding (e.g., various Memorandums of Understanding concluded by Arctic stakeholders; declarations of the Arctic Council, etc.) instruments. It embraces a “bipolar” approach – considers legal regimes for the South and North Poles, and intersects with several branches of law (e.g., Human Rights Law, Constitutional Law, Law of the Sea, Environmental Law, Resources Law, Wildlife Law, Transportation Law, Aboriginal Law, Trade Law, Law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name but a few).
Polar law is also developing as an educational tool and discipline internationally (e.g., Polar Law programme at the University of Akureyri, Iceland; Law of the Sea programme at the University of Tromsø, Norway; specialised courses and programmes at the University of Lapland, Finland and at several Universities in Canada; numerous international Polar law related conferences and workshops; specialised recently established publications like the Yearbook of Polar Law (Akureyri, Iceland & Rovaniemi, Finland); The Arctic Review on Law and Politics (Norway); The Arctic Herald (Russia); Northern Public Affairs (Canada), the Polar Journal (Australia); the Arctic Yearbook (University of the Arctic and Northern Research Forum), and specialised networks (e.g., the Arctic Law Thematic Network of the University of the Arctic (Rovaniemi, Finland), Thematic Network Group on Legal Issues in the Arctic of the Northern Research Forum, (Akureyri, Iceland, etc.)).
Polar law is also developing as a practical tool and as a useful instrument in dealing with various legal and related issues both internationally and domestically. Furthermore, as a discipline, Polar law is closely intertwined with several areas of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e.g., International Relations, Political Science, Economics, Human Geography, etc.). It is evident that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the gaining/ sharing of information with other sciences are going to influence the future development of Polar law.
Despite some obvious similarities between both the Arctic and Antarctica, de facto,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legal regimes. These differences can, in part, be explained by the vivid distinctions that can be drawn between the Poles (see Polar Law Textbook 2010). Nevertheless, changes in these areas suggest that there are issues of common concern which affect further legal and other developments (e.g.,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matters, biodiversity, questions of “sovereignty” – stewardship, shipping, etc.).
A broad overview of Polar law questions was given in the pioneering 2010 Polar Law Textbook (see: www.norden.org). This new textbook reflects on information mainly from September 2012 to February 2013 and covers topics that were not previously discussed thus illustrating the wealth of new information available on Polar law and the constant evolution of this field of studies.
1.2 Major Trends and Arctic Geo-politics
Recent Polar law developments have been sharpened by the magnitude of the changes occurring in both Polar Regions and globally. Polar law intersects with other areas and, arguably, its development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global and many geo-political trend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definition of geopolitics, which has multiple approaches, is beyond the scope of this study.
This section attempts to analyse some of those trends, predominantly in the Arctic context, although Antarctica is also important. Antarctic geopolitics are strongly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sovereignty provisions of Article IV of the Antarctic Treaty of 1959, which “froze” claims to territorial sovereignty for the duration of the Treaty; by science, which contributes to the exercise of geopolitical power; global environmental and resource discourse/concerns (e.g., ozone depletion, climate change, etc.); implications of growing tourism activities not just for the environment but also for geopolitical and legal issues in relation to the Antarctic Treaty System (ATS), etc. Furthermore, the shift in geopolitics is defined by the fact that they are not as state-centric as before (Chaturvedi 2009). New concerns and questions which impact the legal and geopolitical framework of the South Pole are emerging (e.g., continental shelf issues, climate change, jurisdictional issues of tourism, the development of bio-prospecting, or the role and status of NGOs in the geopolitical scene and the ATS, etc.,) (see Koivurova, McDorman and Bastmeijer in this textbook).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Arctic and the emergence of a new geopolitical framework are being tested by a raft of challenges heightened by globalisation, climate change, uncertainty in respect of just how some of these issues may unfold, and by the shifting geopolitical, security and economic environment in the region. To some degree these challenges have modified existing views, concerns, legal disagreements and political collaboration among several Arctic States and other interested stakeholders. This in turn led to a greater legal, political and scientific discourse over emerging and clashing Arctic interests and the need for more coherent policies and responses to the growing multitude of Arctic issues. It also led to the emergence of a diverse number of actors among Arctic, non-Arctic States, a supranational entity like the EU, sub-national units, indigenous groups and Northerners, etc., who are keen to have a greater say in the political, resource, economic, social development, possible claims, cooperation, and other key initiatives that are relevant to the North.
To date, numerous scientific, trade, economic, industrial, military, social, political, environmental and legal activities in the region indicate that we are in the midst of a tremendous process of transformation that will influence the Arctic long into the future, as well as its peoples and developments well beyond the Arctic rim. Although the Arctic States cooperate and agree on many fundamental issues, important concerns as regards the impacts of this “transformation” on the North nevertheless remain. Thus, there is a need to find feasible common solutions for an adequate sustain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stability and security, adaptation to climate and other changes, human capital and capacity-building.
Arguably, the main pillars of this transformation are focused on:
* New geo-politics, including security and Arctic policies;
* Addressing existing and emerging environmental matters;
* Solving outstanding jurisdictional disagreements; Polar Law Textbook II 21
* Resource development (both renewable and non-renewable), control, supply and sustainable use;
* New shipping routes and questions of navigation, transportation, marine regulation, search and rescue activities, Arctic Ocean governance, biodiversity, etc.;
* New intellectual frontiers for scientific, knowledge-based technologies, research and collaboration;
* Innovation in Arctic governance (its process, structures, and practices); the human rights approach to dealing with Arctic matters;
* Preparedness and capacity to tackle future challenges and concerns, with respect to the local and global outcomes of Arctic developments.

극지법 발전 번역(한국어 원본)

1. 극지법의 발전과 주요 흐름
1.1 극지법
국제적, 지역적, 국가적, 하부 국가적 개발의 다양한 분야에서 북극과 남극이 지니는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두 극지 지역과 관련한 현재의 문제와 떠오르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법이 담당해야 하는 역할에 대한 추가적인 고찰이 필요해 졌다. 극지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근본적인 변화를 고려하면 법이 모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아니지만,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법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각각의 문제가 구체적인 해결책과 해당 사례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필요로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일반화는 불가능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극지법의 발전은 북극과 남극이 예상 가능한 미래에 계속해서 정치적, 국제적, 과학적, 언론, 대중적 담론의 중심일 것임을 보여준다. 극지법은 학문적 차원과 국제적 포럼에서 점차 인정 받으며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아직 발전 중인 분야이다. 극지법을 이해하기 위한 접근법은 다양하지만 “광범위한 관점에서 ‘극지법’은 북극 또는 남극 혹은 두 지역 모두에 적용 가능한 국제/국내적 법 체제를 다루는, 발전 중인 법 분야이다” (Loukacheva in Polar Law Textbook 2010:13). 예를 들면 극지법은 각 극지 지역과 관련한 구체적인 문제를 다루는 국제법 조약 (남극 해양생물자원 보존에 관한 협약 [Convention on the Conservation of Antarctic Marine Living Resources], 북극곰 보존 협약 (북극) [Agreement on the Conservation of Polar Bears]), 북극과 남극에 모두 적용되는 국제조약 (UN 해양법협약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을 포괄한다. 극지법은 북극 국가와 북극을 중시하는 기타 국가의 국내법, 또는 협의국의 국가적 법 체계, 혹은 일부 경우 비협의국의 국가적 법 체계에 통합된 남극조약협의국회의 (Antarctic Treaty Consultative Meetings)를 통해 도출된 특정 규제까지 포괄한다. 북극 관할구역의 하부 국가적 법과 북극 원주민의 관습법 또한 극지법 프레임워크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개념적으로 극지법은 법적 구속력을 지니는 (예. 1959년 남극조약 등) ‘경성법’과 법적 구속력이 없는 ‘연성법’ (예. 북극 이해관계자가 체결한 다양한 양해각서, 북극 평의회의 선언 등)을 포함하며 북극과 남극을 위한 법 체제를 검토하는 ‘양극적’ 접근법을 수용하고 몇 가지 법 분야와 교차한다 (예. 인권법, 헌법, 해양법, 환경법, 자원법, 야생동물법, 교통법, 원주민법, 무역법, 지속 가능한 개발법).
극지법은 전세계적으로 교육적 도구 및 분야로서 발전하고 있다 (예. 아쿠레이리 대학교의 극지법 과정, 노르웨이 트롬소 대학교의 해양법 과정, 핀란드 라플란드 대학교의 전문 과정과 프로그램, 캐나다 몇 개 대학교의 전문 과정, 국제 극지법과 관련한 수많은 학술회의와 워크샵, 극지법 이어북 [Yearbook of Polar Law] [Akureyri, Iceland & Rovaniemi, Finland], 법과 정치에 대한 북극의 검토 [The Arctic Review on Law and Politics, 노르웨이], 북극 헤럴드 [The Arctic Herald, 러시아], 북방 사회문제 [Northern Public Affairs, 캐나다], 극지저널 [Polar Journal, 호주], 북극 이어북 [Arctic Yearbook, 북극 대학교 및 북방연구포럼/Northern Research Forum] 과 같은 최근에 간행된 전문 서적, 전문 네트워크, 북극 대학교 북극법 네트워크 [Arctic Law Thematic Network of the University of the Arctic, 핀란드 로바니에미], 북방연구포럼의 북극 법적 문제에 대한 네트워크 그룹 [Thematic Network Group on Legal Issues in the Arctic of the Northern Research Forum, 아이슬란드 아쿠레이리] 등).
극지법은 국제/국내적으로 다양한 법적 문제와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용하면서도 실용적인 도구로 진화하고 있다. 학문 분야로서의 극지법은 사회과학과 인문학의 여러 분야와 긴밀히 얽혀있다 (예. 국제관계, 정치학, 경제, 인문지리). 다학제간 접근법과 다른 학문과의 정보 공유가 극지법의 향후 발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북극과 남극의 뚜렷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두 지역의 법 체제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의 일부는 두 지역 사이의 뚜렷한 구별로 설명할 수 있다 (Polar Law Textbook 2010 참조). 그러나 이러한 지역의 변화는 앞으로 발생할 법적 및 기타 상황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공동의 문제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예. 기후변화, 환경문제, 생물 다양성, ‘주권’의 문제’ – 관리, 해상운송 등).
2010 Polar Law Textbook은 극지법에 대한 광범위한 개관을 제공했다 (참조: www.norden.org). 본서는 주로 2012년 9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수집한 정보를 반영하며 기존에 논의된 바가 없는 주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극지법과 극지법 분야의 지속적 발전에 대한 새로운 정보의 풍부함을 보여준다.
1.2 주요 흐름과 북극의 지정학
최근 극지법이 보인 발전은 북극과 남극에서,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변화의 규모로 인해 더욱 뚜렷해 졌다. 극지법은 다른 분야와 교차하며 극지법의 발전은 국제적/지정학적 흐름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여러 가지 접근법을 가지고 있는 지정학에 대한 정의는 본 연구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임을 밝힌다.
이번 장에서는 남극도 중요하지만 주로 북극의 맥락에서 이러한 흐름의 일부를 분석한다. 남극의 지정학은 조약의 발효 기간 동안 영토 주권에 대한 주장을 ‘동결’시키는 1959년 남극 조약의 5조에 포함되어 있는 주권조항, 지정학적 권력의 행사에 기여하는 과학, 국제환경 및 자원 담론/우려 (예. 오존층 파괴, 기후변화 등), 관광객 활동의 증가가 환경은 물론이고 남극 조약 체제 (ATS: Antarctic Treaty System)와 관련한 지정학적/법적 문제에 가지는 의미 등 여러 가지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지정학의 변화는 전과 같이 국가 중심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는 특성을 보인다 (Chaturvedi 2009). 남극의 법적/지정학적 프레임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우려와 문제가 부상하고 있다 (예. 대륙붕 문제, 기후변화, 관광의 관할권 문제, 바이오프로스펙팅의 개발, 지정학적 문제와 ATS에서 NGO의 위치와 역할) (본 교본 중 Koivurova, McDorman, Bastmeijer가 기술한 내용 참조).
세계화 및 기후변화, 이러한 문제 중 일부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에 대한 불확실성, 변화하고 있는 극지의 지정학적, 안보적, 경제적 환경으로 인해 고조된 여러 가지 문제가 북극의 현재 상황과 새로운 지정학적 프레임워크를 시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몇몇 북극 국가와 기타 이해관계자들이 가지고 있던 관점, 우려, 법적 의견충돌, 정치적 협력을 변화시켰고, 이로 인해 부상하고 있으며 충돌하는 북극의 이해관계에 대한 법적, 정치적, 과학적 담론의 확대와 일관적인 정책과 확대되고 있는 여러 가지 북극 문제에 대한 대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북극과 관련한 정치, 자원, 경제, 협력, 사회발전, 권리 주장 및 기타 핵심 이니셔티브에 대하여 보다 큰 목소리를 내고자 할 북극 국가, 비북극 국가, EU와 같은 초국가적 집단, 하부 국가적 단위, 원주민, 북방인 등의 사이에서 다양한 주체가 부상하게 되었다.
북극의 수많은 과학, 무역, 경제, 산업, 군사, 사회, 정치, 환경, 법적 활동은 우리가 앞으로 북극과 북극을 벗어나는 상황의 변화와 북극의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칠 변화의 한 가운데 있음을 보여주었다. 북극 국가들이 여러 가지 근본적인 문제에 대하여 협력하고 합의하지만 북극의 ‘변화’에 대한 중요한 우려가 남아있기 때문에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 안정성, 안보, 기후 변화와 기타 변화에 대한 적응, 인적 자본, 역량강화를 위하여 실현 가능한 공동의 해결책을 찾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다음에 중점을 둔다.
* 안보와 북극 정책을 포함하는 새로운 지정학
* 기존의, 그리고 새로이 떠오르고 있는 환경문제 해결
* 관할권 갈등 해결
* 자원 개발 (재생 가능한 자원과 재생 불가능한 자원), 통제, 공급, 지속 가능한 사용.
* 새로운 해운 경로, 항해, 교통, 해양규제의 문제, 수색구조 활동, 북극해 지배구조, 생물 다양성 등
* 과학적인 지식 기반 기술, 연구, 협력을 위한 새로운 지적 프론티어.
* 북극 지배구조의 혁신 (과정, 구조, 관행), 북극문제를 다루기 위한 인권 접근법
* 북극 개발이 초래하는 지역적 및 세계적 결과와 관련한 향후의 문제와 우려를 척결하기 위한 준비와 역량

.

이상 극지연구소에서 의뢰한 극지법 발전 번역(영어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