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어 배합사료 전략과 발전방안 번역

 

양어 배합사료 전략과 발전방안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양어 배합사료 전략과 발전방안 번역

양어 배합사료 전략과 발전방안 번역(한국어 원본)

한국 양어 배합사료 산업의 마케팅 전략과 발전방안
목차
I. 서론
II. 국내 양식산업과 배합사료 이용현황
III. 양어용 배합사료 확산 지연 사유
IV. 양어용 배합사료 생산업체의 마케팅 특성
V. 양어용 배합사료 산업발전을 위한 과제
VI. 결론
I. 서론
한국의 어류양식에서 사료는 어류의 성장을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어류양식 비용에서 사료비는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데 2011년의 경우 사료비가 전체 비용 중 35.5%를 점하였다. 양식사료는 생사료와 배합사료로 나눠진다. 생사료의 경우 과다 사용으로 인해 어장환경 악화, 미성어 및 소형어의 자원 고갈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배합사료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담수어종, 1990년대 해수어종의 배합사료 개발이 이뤄졌고, 현재에는 성장단계별 사료가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배합사료를 개발․보급하려는 시책을 개발하여 다양한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양식 현장에서는 배합사료의 사용이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배합사료가 양식인들에게 신뢰를 받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첫째, 양식인들이 기존에 사용하던 생사료를 벗어나 새로운 배합사료 사용에 따른 알지 못하는 두려움을 갖고 있고, 실질적인 배합사료 사용에 대한 경험의 부족으로 인한 불안감이 크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배합사료에 대한 불신이다. 세 번째, 양식인들의 배합사료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다. 이에 대한 문제점들을 짚어 보고 배합사료 사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지, 양식인, 배합사료 생산자, 관련 연구자 및 정부 정책 입안자들은 어떤 역할들을 감당하여야 할 것인지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양식인들의 배합사료 사용에 따른 알지 못하는 두려움과 경험 부족으로 인한 불안감은 사실 배합사료에 대한 불신의 문제와 잘못된 인식을 바꾸어 줌으로써 제거 될 수 있다. 배합사료에 대한 불신은 배합사료 생산 회사 간의 저가 경쟁으로 인하여 충분한 연구개발 및 사육실험을 통하지 않은 부적절한 저가 배합사료를 시장에 판매 하였을 경우 주로 발생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품질이 낮은 저가 배합사료를 사용할 경우 양식인들이 주의 깊게 사육관리 조건을 맞추어 주지 않으면, 양식 대상어가 기대치 이하의 성장이나, 특별히 빠른 성장을 보이는 선두그룹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큰 선별과정 없이 계획생산을 할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성장기간을 상대적으로 단축시켜 선두그룹을 다른 그룹에 앞서서 선별적으로 출하해야 하는 양식장의 출하특성상 배합사료에 대한 불신이 자연스럽게 발생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양식장 현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생사료를 먹였을 경우 육질이 더 좋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실제로 생사료와 배합사료를 먹인 양식산 넙치 활어의 식감을 조사 비교하였을 경우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평가가 되어 있다. 그리고 운영비 면에서 최근 생사료 가격과 배합사료 가격의 동반상승 상태에서 아직은 생사료도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다. 지속적인 자원 고갈로 인하여 생사료 가격이 Kg당 700-800원 이상 상승하게 되면 생사료도 배합사료에 비해서 경쟁력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여기에 더해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인건비와 생사료 제작으로 인한 부대비용과 질병 발생 빈도의 증가 등을 추가적으로 계산한다면 배합사료의 경쟁력은 높아질 것이다.
더욱이, 생사료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질 및 환경오염의 방지와 넙치 같은 고급 양식어의 소비시장을 국외로 넓히고, 다양한 제품개발을 통한 소비패턴의 유도를 위해서는 배합사료의 사용은 미래 양식의 필수 조건이 되는 것이다. 만약 계속해서 생사료를 사용할 경우, 전 세계 시장에서 요구되는 생산 이력제 등의 품질 관리제를 실시 할 수 없으므로 국내에서 생사료로 생산되는 어류를 수출하고자 하는 경우 당장 많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국내 어류양식에서도 일반적인 항생제 사용이 법적으로 금지된 상태에서, 소비자들에게 생산단가를 낮추어 다양한 가공제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생사료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전면 금지 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우리는 인식해야 한다.
외국의 예를 들어 보면, 노르웨이의 경우 양식어류에 관한 생산 이력제를 확립하고 있어 양식어류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먹이고 키웠는지에 관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에게 믿을 수 있는 상품을 생산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노르웨이 자국에서 생산하는 연간 100만 톤과 칠레에서 생산되는 연간 약 70만 톤의 연어가 대부분 노르웨이의 기술과 자본으로 생산 되어 이 중 대부분이 전 세계에 수출되고 있다.
국내 넙치의 경우 이제 횟감용 소비는 양적인 한계에 도달된 것으로 보이며, 향후에는 횟감용뿐 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여 외국수출을 유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하여 이미 정부는 제주도에 넙치클러스터 사업단을 세워서 수출을 적극 장려하고 있는데, 국제적인 식품기준을 맞추어 수출을 하기 위해서는 배합사료의 사용이 장기적으로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모두가 힘을 합쳐 미래의 식량산업인 양식 산업을 국가의 식량기간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생사료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전면 금지 하고 배합사료를 사용 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우리는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러면 어떻게 배합사료사용을 활성화 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당연히 상기에서 확인된 배합사료에 대한 불신의 문제와 잘못된 인식을 제거하여 배합사료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고 일정한 품질의 배합사료를 사용 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 사료업계, 연구기관 그리고 양식업계가 함께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각 분야에서 할 일을 한번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자 한다다.
먼저 정부는 기존의 양어 사료 시장이 작은 관계로 배합사료를 생산하는 회사들이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잘 되지 않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국가기관을 통한 배합사료 연구를 당분간 주도해주며, 만약에 필요하다면 현재 모든 기존의 여러 관련 부처들의 법규와 제도를 확인하고 정비하여 배합사료 사용을 전면 실시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1~2년간의 짧은 유예 기간을 둔 후에 적용하는 방안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2007.11~2008.12월 사이 넙치에 대한『생사료(MP)와 배합사료(EP)의 현장 사육시험』사업을 제주도(2개소) 및 경북도(2개소)의 넙치 양식장에서 실시하였다. 그 실험 결과 치어기 부터 출하기(1kg)까지 넙치 성장도는 배합사료와 생사료 간 차이가 거의 없었고, 사료공급 후 어장 환경은 생사료 배출수의 오염물질 (부유물질, COD 등) 농도 값이 배합사료 시험구보다 1.5~10배 정도 더 높았다. 농림수산식품부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양식인 들에게 알리고, 생 사료 대신 배합사료 사용 당위성을 설명하여, 구체적인 배합사료 전면 사용 일정을 양식업자들과 합의하여 공포함으로써 가시적인 배합사료의 시장을 늘려, 궁극적으로 배합사료 생산회사들이 자체적인 연구개발에 의하여 품질 좋은 배합사료를 개발하고 생산단가를 점진적으로 줄여 나가도록 해야 한다.
최근 2009년 통계자료를 보면 국내 총 배합사료의 총 생산량은 16,664,723 톤이며 그 중 양어용 사료의 량은 117,772 톤(생사료 첨가용 가루사료 포함)으로 양어용 사료는 가축용을 포함한 총 국내 생산량의 0.71% 밖에 되질 않는다. 그만큼 생사료 사용량에 비해 배합사료의 사용량이 작아 양식어류 배합사료 시장이 작은 것이 사실이다.

양어 배합사료 전략과 발전방안 번역(영어 번역본)

Marketing Strategy and Development Plan for the Korean Aquaculture Formula Feed Industry
Table of Contents
I. Introduction
II. Domestic Aquaculture Industry and Usage of Formula Feed
III. Reasons for Delay in the Spread of Aquaculture Formula Feed
IV.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Aquaculture Formula Feed Manufacturers
V.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quaculture Formula Feed Industry
VI. Conclusion
I. Introduction
Feed is a core factor that determines the growth of fish in Korea’s aquaculture. The cost of feed makes up a considerable percentage of the entire expenses for aquaculture, recording 35.5% of the entire cost in 2011. Aquaculture feed is divided into raw feed and formula feed. Raw feed have problems like aggravation of fishery environment due to overuse, and depletion of juvenile and small size fish resource. The alternative to solve these problems is formula feed. In Korea, formula feed for fresh water fish was developed in the 1980s, and sea water fish in the 1990s, and currently, various feed for each maturity stage are being sold. Even the government is supporting various projects by developing a policy to develop․distribute formula fee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n actual fisheries, formula feed are not being actively used.
The main reason why fish farmers do not trust formula feed is that they have an unknown fear of migrating from the feed they’ve previously used to formula feed, and possess a large anxiety due to inexperience of actually using formula feed. The second reason is distrust in formula feed. Third is the wrong awareness of fish farmers about formula feed. We aim to look into each of these problems, and propose what are specific plans to vitalize formula feed usage, and what roles fish farmers, formula feed manufacturers, related researchers and government policymakers must assume.
The fish farmers’ unknown fear of using formula feed and anxiety due inexperience can actually be removed by changing the distrust and wrong awareness about formula feed. Distrust in formula feed is a problem that mainly occurs when cheap, inappropriate formula feed that hasn’t gone through sufficient research development and experiments, due to low-cost competition between formula feed manufacturers, is sold in the market. When using such cheap, low quality formula feed, the farmed fish may mature less than the expected level or not form a leading group that shows especially fast growth if fish farmers do not pay attention to satisfy the breeding management conditio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is may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lan production without any huge selection process, but realistically distrust in formula feed naturally rise because fisheries need to selectively ship a leader group before the rest by relatively reducing the growth period. In the fisheries,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flesh quality is better when giving raw feed.
However, when comparing the texture of farmed flatflish that ate raw feed and formula feed,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Also in terms of operational costs, there are still people who think that raw feed still have competitiveness because recently, the price of raw feed and formula feed rose together. Due to continuous resource depletion, if the price of raw feed rise by 700-800 won per Kg, raw feed will fall behind formula feed in terms of competitiveness. When additionally considering ever rising labor costs, additional expenses for producing raw feed, and increase in disease occurrence frequency, the competitiveness of formula feed will rise.
Moreover, in order to prevent water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using raw feed, expand the market of high quality hatchery fish like flatfish to overseas, and attract consumption patterns through various product development, the usage of formula feed becomes a required condition in future aquaculture. If raw feed continue to be used, immediate problems arise when trying to export fish that were produced with raw feed because quality control such as production history control demanded in world markets cannot be conducted. Also, we must be aware that in order to lower production costs and provide various processed products to consumers when the use of general antibiotics is prohibited by law even in domestic aquaculture, there is no choice but to fully prohibit the use of raw feed by phases.
If we look at an overseas example, in Norway, information about where, what, and how aquaculture fish were fed and bred can be checked with the production history policy on aquaculture fish, and products which customers can trust are produced based on this information. With this system, a million ton of salmon produced in Norway and approximately seven hundred thousand ton produced in Chile annually are mostly produced with Norway’s technology and capital, and the majority of it is being exported all over the world.
In the case of domestic flatfish, sashimi consumption has now reached a quantitative limit, and in the future, we believe various products other than for sashimi purpose must be developed and exported overseas. To do so, the government has already established a flatfish cluster business group in Jeju Island and actively encouraging export, but in order to export under the international food standards, the use of formula feed is mandatory in the long term. Also, in order to have everyone work together to develop the aquaculture industry, a future food industry, into a national food backbone industry, we must acknowledge that the use of raw feed must be fully prohibited eventually and that using formula feed will become inevitable.
In such circumstances, we must think about how to vitalize the use of formula feed. Obviously, we must remove the mistrust and wrong awareness of formula feed confirmed above, secure trust in formula feed, and must be able to use a certain quality of formula feed. To do so, the government, feed industry, research organizations and aquaculture industry must jointly put effort. Therefore, we summarized below the tasks needed to be done in each field.
First, considering that companies that produce formula feed are not investing in research and development because the existing aquaculture feed market is small, the government must lead formula feed research through national organizations in the meantime, and if necessary, create a plan to fully use formula feed by checking and improving all currently existing regulations and policies of various related departments, and also prepare a plan to apply after a short grace period of 1~2 years.
From November 2007 to December 2008,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conducted a 『field breeding experiment of raw feed(MP) and formula feed(EP)』 on flatfish in flatfish farms located in Jeju Island(2 places) and Gyeongsangbuk-do (2 plac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maturity rate of flatfish between formula feed and raw feed from juvenile until shipment (1kg), and regarding the fishery environment after supplying feed, the pollutant (suspended solid, COD etc.) concentration emitted from raw feed was 1.5~10 times higher than the value in the formula feed test group.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ust notify fish farmers about this fact, explain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formula feed instead of raw feed, and announce a detailed schedule to fully use formula feed after discussing with fish farmers. Through this, it must scale the visible formula feed market, and ultimately have formula feed producers to develop good quality formula feed and gradually reduce the unit production cost through self-initi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If we look at the recent statistics from 2009, the total amount of domestically produced formula feed is 16,664,723 tons and within that amount, 117,772 tons (including powder feed added to raw feed) is the amount of aquaculture feed, consisting only 0.71% of the entire domestic production which includes livestock feed. As can be seen from this data, the amount of formula feed used is small compared to the amount of raw feed used and the market for aquaculture formula feed is small.

.

이상 기업에서 의뢰한 양어 배합사료 전략과 발전방안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